방송통신위원회가 17일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2011년에 지상파 방송의 다채널 서비스(MMS) 도입을 검토키로 했다고 밝히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MMS가 도입되면 지상파 방송에서도 20여개의 채널 서비스가 가능해 유료방송업계가 큰 타격을 입게 될 뿐 아니라, 한정된 광고시장을 둘러싼 경쟁도 격화할 수밖에 없어 미디어 업계 전체에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보인다.
방통위가 이날 청와대에 보고한 ‘2011년 업무계획’에 따르면 ‘지상파 다채널방송 서비스 정책방안’이 내년도 3대 핵심 전략 중 ‘시장경쟁 활성화’의 세부 과제로 포함돼 있다. 방통위 측은 “2013년 아날로그 방송의 디지털 전환에 따라 MMS 도입 여부를 포함, (도입할 경우) 운영 주체와 면허 방식, 채널 구성 등 관련 정책방안을 검토한다는 것”이라며 “MMS 허용을 결정한 것도 아니고, 도입한다 해도 지상파 방송사에 이를 허용한다는 방침도 아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제부터 논의를 해보자는 뜻”이라는 게 방통위의 입장이지만, 때마침 지상파 업계가 ‘MMS 공동 추진’을 선언하고 나서면서 논란에 불을 지폈다. KBS MBC SBS EBS 등 지상파 4사는 1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지상파 방송사 시청자 서비스 강화’ 협약식을 맺고, KBS가 독자적으로 추진해온 다채널서비스 ‘케이뷰(K-view)’를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청와대와 방통위는 진화에 나섰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MMS 관련 내용은 (방통위 업무계획을 담은) 자료에는 있었지만, 방통위원장이 대통령에게 보고할 땐 이를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케이블 등 관련 업계는 “지상파에 MMS를 허용하면 다채널을 무기로 경쟁해온 유료방송업계는 다 죽을 수밖에 없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방통위는 또 업무보고에서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0.73%(8조 1,000억원) 수준인 광고시장 규모를 2015년 GDP의 1%(13조 8,000억원) 수준으로 확대한다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방통위는 특히 방송광고시장 규모 확대를 위해 ▦외주제작사와 지상파 방송에만 각각 허용해온 협찬광고, 간접광고의 상호 허용 ▦전문의약품, 샘물 등 일반광고 금지품목의 광고 허용 ▦광고총량제 도입 ▦지상파의 중간광고 허용 등을 검토키로 했다고 밝혔다. 방송광고시장 확대 방안은 인쇄 매체 등 미디어 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 역시 논란이 될 전망이다.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MMSㆍmulti mode service)
데이터 압축 기술을 이용해 방송주파수 대역(6㎒) 내에서 고화질(HD) 외에 표준화질(SD), 오디오, 데이터 등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 현재의 1개 채널을 쪼개 최대 4개 채널까지 운영할 수 있다. 이 서비스가 도입되면 지상파 방송에서 20여개의 채널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이희정기자 jay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