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융산업의 빅뱅이 시작됐다. 하나금융이 25일 외환은행 지분 51.02%를 4조6,888억원에 인수하기로 론스타와 계약을 체결했다. 하나금융이 내년 2,3월께 외환은행을 공식 편입하면 신한금융을 제치고 우리금융, KB에 이어 업계 3위(총자산 기준)로 도약한다.
우리금융의 민영화 작업도 본격화하고 있다. 예금보험공사가 26일 입찰참가 의향서를 접수한 결과, 보고펀드 칼라일 등 11곳이 참여했다. 우리금융 자회사인 경남은행과 광주은행도 주인 찾기에 나선다. 금융산업의 판도를 바꿀 마지막 빅 카드인 우리금융 민영화가 마무리되면 국내 금융권은 본격적인 4강 체제로 재편돼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빅4'에 비해 자산 규모는 작지만, 내년 중 민영화가 추진될 산업ㆍ기업은행 등 국책은행의 개편 방향도 금융계 판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정부는 국내 금융권의 새 판 짜기가 금융권의 혁신과 서비스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리ㆍ감독해야 한다. 우선 론스타에 대한 과세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론스타는 이미 지분 일부를 매각하고 매년 배당금을 받아 투자원금 2조1,500억원을 대부분 회수한 상태다. 2003년 외환은행 인수 이후 불과 7년 만에 4조원 이상의 매각대금을 이익으로 챙기게 됐다. 당시 리스크를 우려해 어느 누구도 나서지 않던 외환은행을 인수해 흑자 경영을 일궈온 론스타를 '먹튀'로 몰아붙이는 것은 시장 논리에 맞지 않지만, 4조원 이상의 매매차익에는 철저한 과세를 해야 한다.
우리금융 민영화도 매듭을 지어야 한다. 우리금융은 외환위기 이후 10년 동안 정부의 지나친 간섭으로 경쟁력을 제대로 갖추기 어려웠다. 공적 자금 회수도 중요하지만 민영화 지연에 따른 부작용도 감안해야 한다. 금융권의 지각변동이 단순히 규모만 키우는 게 아니라 국내 금융산업 발전과 소비자의 이익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이뤄지길 기대한다.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