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가 어제 발표한 지난해 우리나라 성 평등지수는 61.2점(100점 만점)이다. 2008년과 거의 차이가 없다. 국제기구의 산출방법과 조금 달라 선진국과 직접 비교할 수는 없지만 높지 않은 것만은 분명하다.
보건(89.3점), 문화ㆍ정보(74.3점), 교육ㆍ직업훈련(70.3점) 분야는 그나마 낫다. 성 불평등이 가장 심각한 분야는 의사결정이다. 겨우 23.7점으로 보건분야의 3분의 1 수준이다. 2008년(24.6점)보다 못하다. 우리나라 여성들은 주요 의사결정에 참여할 기회가 적다. 정부와 민간기업에 우두머리나 간부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뜻이다. 여성 리더의 숫자를 중시하는 세계경제포럼(WEF)의 '2010 성 격차지수'에서 조사대상 134개국 중 104위(0.634)인 것도 이 때문이다.
5급 이상 공무원도 10%에서 제자리 걸음이다. 민간기업도 비슷하다. 500인 이상 사업장의 여성 근로자 비율은 34%이지만 과장급 이상 관리자의 비율은 14%에 머물고 있다. 주요 기업의 여성 임원비율이 40%인 노르웨이와 비교하면 천양지차다. 우리나라 여성의 의사결정 참여가 낮은 이유는 우선 아직도 뿌리깊은 남성 중심의 조직문화와 의사결정구조 때문이다. 출산과 육아에 따른 경력 단절과 불리한 여건, 여성 스스로 책임지기 싫어하는 의식을 꼽는 사람도 있다.
우리나라도 여성들의 의사결정 참여를 높이기 위해 관리직 여성 공무원 임용목표제, 국회 비례대표 50% 여성할당제 등 갖가지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18대 국회에는 여성의원이 45명(15%)으로 늘어났다. 지난달 전국 동시지방선거에서는 739명(20.3%)의 여성이 지방의회 의원에 당선되는 등 조금씩 달라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 멀었다. 지금 세계는 소프트 파워시대를 맞아 일방적 명령과 복종이 아닌 부드럽고 섬세한 감성, 창의력과 소통을 바탕으로 한 여성의 리더십을 적극 수용하고 있다. 28, 29일 서울에서 열리는 세계여성 리더십 컨퍼런스는 그것을 확인하고 평가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