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의 안전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1주일 남짓한 사이에 육ㆍ해ㆍ공군이 돌아가며 사고를 일으켜 장병 8명이 희생됐다. 자식을 군에 보낸 부모들과 많은 국민이"군이 왜 이러나", 불안해 하는 게 당연하다. 천안함 피격 사태의 충격이 채 가시지 않은 탓에 걱정과 비판이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이럴 때마다 흔히 군의 생명인 군기(軍紀)가 흐트러졌다고 나무란다. 그러나 근본 원인은 군의 안전관리가 낙후한 현실이다.'선진 강군'구호에 걸맞은 안전관리에 노력과 투자를 해야 한다.
10일 발생한 해군 고속정 침몰사고와 12일의 공군 정찰기 추락사고는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17일 남한강 도하훈련을 하던 육군 공병부대 단정(短艇)이 급류에 뒤집혀 장병 3명이 숨진 사고는 안전에 소홀한 정황이 뚜렷하다. 지휘관들이 함께 타고 모두 구명조끼를 입었다지만, 이포보 공사로 물줄기가 좁아져 급류가 소용돌이치는 상황을 헤아려 안전조치를 강화했는지 의문이다. 선진국 군이라면, 별도 배치된 안전담당관이 위험 요소를 미리 파악해 훈련을 통제했을 것이다.
우리 군은 과거 민간보다 안전관리가 앞섰다. 일찍이 현대적 조직과 교육훈련 체계를 도입한 덕분이다. 그러나 지속적 관심과 투자에 소홀한 탓에 지금은 민간에 뒤진다. 각군에 안전관리규정이 있으나 고의적 군기사고와 고의성 없는 안전사고를 뭉뚱그려 놓았다. 또 사단과 사령부 단위에 안전담당관이 있지만, 그 아래는 지휘관이나 장교가 겸임해 전문적 관리와 교육훈련이 이뤄지지 않는다. 과거보다 줄었다지만 안전사고가 잦은 근본원인이다.
안전사고에 따른 인명과 장비 손실은 전투력과 사기, 국민 신뢰를 해친다. 지휘관들의 책임의식과 지휘통솔에만 맡길 게 아니다. 부담만 지우고 사고가 나면 문책하는 낡은 관행을 벗어나야 한다. 천안함 사태 직후 해군 헬기가 잇따라 추락한 데서 보듯, 엄한 군기와 장병의 인내를 강요할수록 안전사고는 늘기 마련이다.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