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시진핑(習近平) 국가 부주석을 차기 지도자로 결정하면서 경제정책의 일대 전환을 선언했다. 2012년 예정된 지도부 교체를 안정되게 이끄는 것을 바탕으로, 30년 지속한 성장 정책을 빈부격차 해소와 분배 중심으로 바꾸기로 한 것이다.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주요 2개국(G2) 지위에 오른 중국의 지도부 교체와 경제노선 전환은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우리도 국가 차원의 대응 전략을 서둘러 세워야 할 것이다.
중국 공산당은 18일 끝난 17기 중앙위원회 5차 전체회의에서 시진핑을 차기 지도자 몫인 당 중앙군사위 부주석에 선출, 후진타오 국가 주석을 승계할 5세대 최고지도자로 예고했다. 이와 함께 경제정책의 중심을 개인의 소득 증대, 이른바 민부(民富)로 전환하는 12차 5개년(2011~2015년)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공업과 수출 위주 성장의 그늘에 쌓인 계층과 지역 격차의 해소와 첨단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경제구조 개혁을 천명했다. 성장에서 소외된 노동자 농민 등 인민의 소득 증대와 낙후한 내륙지역의 집중개발을 꾀한다는 목표이다.
이러한 '포용성 성장'정책은 계층ㆍ 지역 갈등과 불만을 완화, 정치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포석이다. 공산당은 과감하면서도 꾸준한 정치 개혁을 다짐, 제한된 민주화와 기본권 확대 등의 '선치(善治)'로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의지를 밝혔다. 시진핑이 이끌 차기 지도부가 불안 요인을 딛고 안정과 개혁을 추진해 '조화로운 사회'를 이룰지 주목된다.
우리는 중국의 큰 틀의 변화에 누구보다 지혜롭게 대응해야 한다. 체제 안정과 내륙 개발, 내수 확대에 치중하는 데 따른 영향부터 잘 헤아릴 일이다. 특히 주변 정세가 더욱 안정되기를 바랄 중국이 핵을 비롯한 북한 문제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도록 이끄는 길을 고민해야 한다. 또 방대한 내수시장 확대를 경제적 기회로 삼을 만하다. 스스로 '완전히 새로운 시대적 명제'와 마주섰다는 거인의 행보를 가늠하고 대비하는 데 소홀해서는 안 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