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이 해상초계기(P_3C)의 비행상한선을 15마일 북상시켜 북방한계선(NLL) 인근 지역까지 확대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경비구역에서 종래 한 척의 초계함이 경비하던 것을 두 척이 함께 경비하는 방식으로 변경하고, 비정기적으로 이뤄졌던 한미 연합 대잠수함훈련을 동ㆍ서해 1회씩 매년 두 차례 정례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김성찬 해군참모총장은 18일 경기 평택시 2함대사령부 부두에 정박한 독도함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천안함 사태 이후 후속 조치 방안을 이같이 보고했다.
김 총장은 “대잠 능력 향상을 위해 2함대 고속정 30여척에 어군탐지기를 설치했고 구축함 호위함 초계함 등 10여척의 음탐기센서를 교체했다”며 “한미 연합훈련의 대잠훈련 기간도 1주일에서 1.5주일로 늘리고 한 훈련 기간에 실시하는 대잠훈련 횟수를 3회에서 5회로 확대했다”고 밝혔다. 김 총장은 전력 보강과 관련, “독도함에 이어 2018년까지 1만4,500톤급 대형상륙함정을 전력화하고 2012년에는 차기호위함(2,300톤급) 20여척, 2016년에는 차기고속정 10여척, 2019년에는 차기구축함(5,600톤급) 10여척을 확보할 것”이라고 청사진을 제시했다. 김 총장은 또 해군의 슬로건인 대양해군 용어 폐기 논란에 대해 “대양해군이냐, 연안해군이냐가 군사력 건설의 목표가 될 수 없고 해군은 세계 어디든 국가 이익이 있는 곳에서 활동할 것”이라며 “지금은 대양해군보다 대북 작전 능력 향상 노력에 더욱 집중하자는 뜻이 오해를 불러온 것 같다”고 설명했다.
또 한나라당 정미경 의원은 “한국 함정이 독도에 가장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은 4시간 1분정도인데 반해 일본 함정은 2시간 50분 정도면 오기 때문에 한 시간 이상 차이가 난다”며 “울릉도에 해군기지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국감이 함정 위에서 진행된 것은 사상 처음이다(한국일보 9월 15일자 2면).
독도함(평택)=김광수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