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화학자 수상자로 리차드 헤크(79) 미 델라웨어대 명예교수와 일본인인 에-이치 네기시(75) 미 퍼듀대 석좌교수, 스즈키 아키라(80) 일본 홋카이도대 명예교수 등 3명이 선정됐다.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는 6일 “산업적으로 활발히 응용되고 있는 팔라듐 촉매반응을 처음 개발한 헤크 교수와 네기시 교수, 스즈키 교수를 공동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팔라듐 촉매반응은 지금도 의약품과 전자소재에 쓰이는 화합물을 만드는데 없어선 안 되는 중요한 화학반응으로 꼽힌다.
자연계에는 미생물을 죽이거나 빛을 내는 등 독특한 성질을 가진 물질이 많다. 이런 천연물질을 모방한 화합물을 합성하면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그러나 화학자들이 천연물질을 닮은 화합물을 만드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천연물질 가운데는 탄소로 이뤄져 있는 유기화합물이 많은데, 실험실에서는 탄소와 탄소를 결합시키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수상자들은 금속인 팔라듐을 촉매(화학반응이 잘 이뤄질 수 있게 돕는 물질)로 이용해 탄소와 탄소를 붙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탄소-탄소 짝지움 반응)을 처음 제안했다. 이 방법은 부산물이 거의 없어 경제적이고 폐기물이 생기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수상자들은 실제로 카리브해에 사는 해면에 들어 있고 항암작용을 하는 천연물질을 실험실에서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 이철범 서울대 화학과 교수는 “고도로 복잡한 유기화합물을 쉽게 합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며 “현재 전자산업계에서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만드는데 쓰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항암제 탁솔이나 진통제 모르핀도 이 반응으로 만든다.
장석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교수는 “헤크 교수가 메커니즘을 제안했고, 네기시 교수가 이를 더 쉬운 환경에서 일어나도록 발전시켰으며, 아키라 교수는 이를 상용화했다”고 말했다.
노벨화학상 시상식은 12월10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다. 수상자 3명은 1,000만크로네(약 16억7,000만원)의 상금을 나눠 받는다.
임소형기자 precar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