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조선 神道碑 탁본 30점 일반 공개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조선 神道碑 탁본 30점 일반 공개

입력
2010.09.13 08:53
0 0

‘태어나서는 매우 어리석었고 장성하여서는 병이 많았네’(生而大癡 壯而多疾)

‘중년에는 어찌 학문을 좋아했으며 말년에는 어찌 벼슬에 올랐던고’(中何嗜學 晩何叨爵)

퇴계 이황이 자신의 삶을 직접 정리하며 썼다는 자찬(自撰)묘비명 탁본의 앞 구절이다.

성균관대 박물관은 13일 ‘조선 전기 신도비전’을 열어 조선 전기 신도비(神道碑) 탁본 30종을 처음 일반에 공개했다. 신도비는 정2품 이상 사대부가 숨지면 일반 묘비와는 별도로 그가 살던 마을 입구 등에 비석 형태로 세워 묘가 근처에 있다는 걸 알리는 역할을 했다.

김대식 성균관대 박물관 학예실장은 “신도비는 망자를 기리기 위해 후세들이 좋은 어귀만 써준 게 보통인데, 퇴계는 신도비를 세우지 말라고 제자들에게 당부한 대신 자신이 직접 스스로 삶을 정리하는 글을 남겨 비를 세웠다는 점에서 특이하다”고 말했다.

12월 13일까지 석 달간 열리는 기획전에는 태조 태종 세종 등 국왕 신도비 4종의 탁본을 비롯해 황희, 율곡 이이, 한명회, 김종직, 이현보, 조광조, 김성일 등 조선을 대표하는 고위 관료 등 유학자 신도비의 탁본이 전시된다. 특히 세종 신도비는 조선 초 최고 명필로 일컬어지는 안평대군의 글씨여서 더욱 눈길을 끈다.

김 실장은 “중국에서 기원한 신도비 문화는 통일신라 때부터 수용하기 시작하면서 고려 말 성리학 보급과 함께 크게 유행했다”며 “묘와 가까운 것은 100m 전후, 먼 것은 1㎞ 이상 떨어진 길가 등에 동남향으로 세워졌으며 큰 것은 높이만 4m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이태무기자 abcdef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