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일부 진통 끝에 10ㆍ3 전당대회 운영규칙을 최종 결정했다. 그 동안 정동영 손학규 상임고문과 정세균 전 대표 등 '빅3' 진영이 논란을 벌인 지도체제와 당권ㆍ대권 분리 여부, 투표 방식 등 3대 쟁점은 각각 순수 집단지도체제와 대선 1년 전 당권ㆍ대권 분리, '대의원 70% + 당원 여론조사 30% 반영'으로 결정됐다.
새 방안은 대개의 '경기 규칙'이 그렇듯 주요 당사자들의 이해를 절충한 결과다. 따라서 저마다 유ㆍ불리를 따져 불만을 제기할 수 있지만 국민 관심을 끌기는 어렵다. 정 고문 측의 주장이 많이 반영됐다는 관측이 많지만, 그 또한 민주당 내 역학구도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다.
다만 우리는 이번 전당대회 규칙 만들기 과정에서 민주당이 여전히 내향적 자세를 버리지 못했고, 당의 미래와 관한 위기의식에 접근하지 못했음을 확인했다. 현재의 정치적 기득권에 따른 현상 유지나 세력 균형에 치중하는 쉬운 길을 선택, 미래의 전망과 구상을 바탕으로 현실 변화를 꾀하는 바람직한 길과 멀어졌다.
우선 당내 기득권층의 고른 지도부 진출을 보장함으로써 다음 세대, 그 다음 세대 지도자 후보의 발굴을 늦추었다. 당장 순수 집단지도체제를 채용, 당 대표와 일반 최고위원 선거를 나누지 않음으로써 차세대 지도자들의 최고위원 진출을 가로막았다. 또 상대적으로 당내 세력이 열세인 중진ㆍ소장파 정치인에게 그나마 도움이 될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일절 반영하지 않기로 한 것도 마찬가지다. '국민참여 경선'이라는 새로운 정치실험을 고안한 민주당이 이제 와서 여당만큼도 일반 국민의사를 반영하지 않겠다면, 엄격한 정당정치 원칙으로의 회귀 등 근본적 방향 전환이 있었어야 할 텐데 그런 흔적도 없다.
이미 당 안팎에서 경쟁력의 한계를 드러낸 '빅3'가 그대로 당의 전면에 서리라는 전망 자체가 미래지향과 동떨어진다. 수권정당의 참 모습을 갖추려면 '빅3'보다는 '후견인 3'가 훨씬 절실하다는 점을 민주당만 모르는 듯하다. 아니면 만년 야당이라도 눈앞의 단물만 빨면 그만이라는 뜻인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