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연일 ‘핵 억제력 강화’를 외치고 있다.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인 김영춘 인민무력부장은 26일 정전협정 체결 57주년을 맞아 열린 중앙보고대회 연설에서 “새롭게 발전된 방법으로 핵 억제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국방위원회 대변인 성명은 동해 한미 연합훈련을 겨냥해‘보복성전’을 다짐하며 “강력한 핵 억제력으로 맞서나갈 것”이라고 선언했다. 외무성 대변인도 미국의 추가 금융제재에“핵 억제력을 다각적으로 강화하고 강력한 물리적 조치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3월 키리졸브 한미연합 훈련과 지난해 9월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 1874호 채택 등 대북 압박이 가해질 때마다 핵 억제력 강화를 거론했다. 다분히 엄포 성격이 강했다. 이번에도 그렇게 들을 수 있다. 하지만 미국의 추가 금융제재 움직임이 가시화하고 한미 연합훈련 등 대북 압박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실제 행동으로 옮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김정은 후계구도를 다지기 위해서도 3차 핵실험과 같은 충격 조치를 통해 안팎으로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
김영춘이‘새롭게 발전된 방법’의 핵 억제력 강화를 언급한 것에 관심이 쏠리는 것은 이 때문이다. 북한은 지난해 9월 우라늄 농축 실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올 5월에는 “조선의 과학자들이 핵융합 반응을 성공시키는 성과를 이룩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플루토늄 방식의 핵 실험에 이어 고농축 우라늄 방식의 핵실험이나 수소폭탄 실험을 시도할 수 있다는 암시일 수 있다. 장거리 미사일발사와 함께 핵탄두 소형화를 위한 실험을 실시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북한의 새로운 핵 기술 개발을 회의하는 견해가 아직은 우세하다. 그러나 그런 시도를 구체화하는 것만으로 한반도는 긴장과 위기에 휩싸일 수밖에 없다. 대화와 협상을 통한 북핵 해결이 그만큼 더 멀어질 뿐 아니라, 김정일 정권도 거센 후폭풍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북한과 관련국 모두가 냉정하게 현실을 돌아볼 때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