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르단이 대규모 우라늄 광산 발굴을 계기로 핵에너지 강국으로 발돋움하려는 계획을 세우면서 우방인 미국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미국이 중동지역의 긴장고조를 우려해 “자체 핵연료 생산을 하지 말라”고 요구하고 있는데, 요르단은 유엔이 제시한 당연한 권리이기 때문에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5일 미국과 요르단이 ‘핵협력협정’을 논의 중이라면서 이 같이 보도했다. 원유가 별로 나지 않은 요르단은 원유 수입을 통해 대부분의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다. 수자원도 세계에서 가장 적어 에너지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다 2007년 수도 암만 인근 사막에서 최소 6만5,000톤의 우라늄 광산이 발견된 데 이어 추가로 우라늄 광산들이 잇따라 발견되면서 에너지전략이 원자력 부분으로 급수정됐다. 요르단 국왕 압둘라 2세는 국가경제전략을 새로 수립하라고 지시하기까지 했다.
이에 우방인 미국의 핵에너지 기술을 도입하기로 하고, 미국도 중동지역의 평화적인 핵에너지 사용을 독려한다는 입장이기 때문에 협정 체결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미국 기업이 요르단에 핵 관련 부품과 기술을 이전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문제는 미국이 언제든지 군사용으로 전환할 수 있는 핵연료를 요르단이 직접 생산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란, 시리아, 이스라엘 등을 자극할 수 있다며 요르단 정부에 “자체 핵연료 생산을 하지 말라”고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용 핵연료 생산은 유엔의 핵확산금지조약(NPT)에서 인정하고 있는 각국의 권리이다. 요르단은 당연히 받아드릴 수 없다고 거듭 밝히고 있고, 이 때문에 양국의 핵협력협정이 깨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WSJ은 “요르단이 미국의 도움 없이 핵 개발을 추진할 수도 있다”며 “그러나 그리 되면 외교적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요르단 정부는 지난 3월 북요르단 대학에 연구용 원자료를 구입해준데 이어, 첫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위해 4개의 국제 컨소시엄과 협상을 벌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압둘라 국왕이 한 인터뷰에서 “이스라엘이 한국과 프랑스 정부에 ‘요르단에 원자력 기술을 팔지 말라’고 압력을 넣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스라엘의 이런 행위가 1994년 ‘평화협정’이후 요르단-이스라엘의 관계를 최악으로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스라엘은 이 주장을 공식적으로 부인하고 있지만 긴장은 계속되고 있다.
이진희기자 river@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