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이 북 어뢰 공격에 침몰한 것으로 결론 나면서 군의 구멍 난 안보 태세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민군합동조사단 조사 결과, 북 잠수정이 3월 26일 밤 백령도 서쪽으로 침투해 저녁 9시22분께 천안함을 일격에 침몰시켰지만 아무도 손을 쓰지 못하고 당했다. 잠수정이 근처로 왔다는 것도, 어뢰가 발사된 것도 몰랐다. 천안함 장병들은 평시 태세에서 일과를 마치고 운동하거나 취침을 준비했고, 가족들과도 통화했다.
초동 대응도 문제다. 천안함 침몰 이후 군 지휘부는 50분간 상황을 파악하지 못했다. 이상의 합동참모본부 의장은 사고 발생 49분 만인 저녁 10시11분께,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다시 3분 뒤에 각각 첫 보고를 받았다. 침몰 시각도 일주일이 지나서야 파악했고, 침몰 시각 파악에 결정적인 지진파 신호도 사실상 무시했다. 천안함 침몰 원인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었던 열상관측장비(TOD)의 녹화 기능도 일찍이 파악하지 못해 군에 대한 불신을 자초했다.
군 내부 소통도 이해하기 힘들다. A급 비상경계령인 서풍1을 발령하고도 사고 발생 37분이 지난 뒤에야 해군은 공군에게 지원을 요청했고, 합참은 1시간18분 뒤에야 전투기 출격 지시를 내려 군의 무능함을 그대로 노출시켰다.
침몰한 함미(艦尾) 위치도 침몰 사흘 만에 군이 아닌 어선이 발견했고, 북한 공격의 결정적 증거인 어뢰 몸체도 쌍끌이어선이 수거했다. 유호열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군이 실제 상황에 너무 안이하게 대응했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사태의 심각성을 명확하게 파악해 군 체계를 전반적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기수기자 blessyou@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