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의 눈과 귀는 온통 5월12일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의 입에 쏠려 있다. 5월 통화정책방향을 정할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당장 금리를 올리는 결정은 불가능하겠지만, 과연 김 총재가 기자회견을 통해 어떤 코멘트를 내놓을 지가 관건 중에 관건이다.
사실 금리인상에 관한 한 지금 가장 곤혹스런 사람은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다. 취임하자마자 출구 밖으로 나오라는 시장, 출구를 절대로 나가선 안 된다는 정부 사이에서 '샌드위치'가 되어버렸다. 일단은 정부 편에 섰지만 계속 그러자니 시장으로부터 외면 받게 되고, 그렇다고 하루아침에 정부와 각을 세우기도 어려운 형편이다.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에 대한 지적은 요즘 들어 국내외를 가리지 않는다.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 경제의 성장세를 볼 때 가까운 시일 안에 금리를 점진적으로 정상화할 여지가 있다"고 밝힌 데 이어, 최근 방한한 스티븐 로치 모건스탠리 아시아 회장도 "금리 인상 시기를 놓치면 주식시장 버블이 발생한 2003년과 2007년의 실수를 반복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내 역시 한국개발연구원(KDI)와 금융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은 물론, 재계를 대표하는 한국경제연구원조차 금리 인상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 연구원은 "선제적으로 금리를 올려야 할 한국은행만 거꾸로 출구전략을 거부하는 이상한 모양새가 펼쳐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점에서 한은이 현재 자가당착에 빠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 총재는 금리인상 시점을 "민간 자생력 회복이 확인된 후"라고 했지만, 이미 한은 보고서 등을 통해서도 민간자생력은 어느 정도 확인됐기 때문이다.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 내부에서조차 "저금리가 지속될 경우 구조조정 지연, 물가상승 압력 증대, 자산가격 오름세 확대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목소리가 나왔을 정도다.
시장에선 김 총재가 12일 금통위 후 기자회견에서 어떤 형태로든 금리인상을 약간은 시사하는 발언을 내놓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시장관계자는 "금리를 올리려면 적어도 한두달 전엔 총재 멘트를 통해 시장에 신호를 줘야 한다"면서 "5월부터는 조금씩 신호를 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식 기자 jawohl@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