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분기 강수량 증가 덕분에 4대강 수질이 나아졌다는 자료를 근거로 "4대강 사업을 하면 강물이 많아져 수질이 개선될 것"이라는 결론을 내놓았다. 이에 환경단체들은 "제 논에 물대기 식 해석"이라며 반박하고 나섰다.
국토부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는 19일 "올해 1~3월 강수량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1.9배 늘어나면서 한강ㆍ낙동강ㆍ금강ㆍ영산강 등 4대강 주요 지점의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기준 수질이 최대 2.8배 개선되는 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한강 수계 팔당댐의 지난해 1~3월 평균 BOD는 1.7㎎/ℓ였으나 올해는 1.1㎎/ℓ로 개선됐다. 낙동강 수계 물금은 4.2㎎/ℓ에서 3.9㎎/ℓ, 금강 수계 부여는 3.8㎎/ℓ에서 2.1㎎/ℓ, 영산강 수계 나주는 8.2㎎/ℓ에서 5.2㎎/ℓ로 나아졌다.
이 같은 수질개선에 대해 국토부는 "강수량이 늘면 수질이 좋아지는 것처럼 4대강 사업으로 하천 용수량이 증가하면 수질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밝혔다. 4대강 사업을 통해 상류에 댐을 건설하고 제방을 높여 물을 더 담아뒀다가 갈수기에 흘려 보내게 되는데, 오염물질 총량이 일정하고 물이 많아지면 자연히 전체 수질이 개선된다는 논리다. 추진본부 관계자는 "4대강 사업으로 오염물질 유입량을 줄이면 수질 개선 효과가 더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환경단체 등에서는 '강수 효과'와 '저수 효과'를 똑같이 놓고 비교하는 것은 논리적 비약이 심하다고 반박했다. 환경연합 이철재 국장은 "단기간에 측정한 결과로 수질 개선 효과를 예측하는 것은 무리"라며 "오히려 보를 철거했을 때 수질이 더 개선되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김정욱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도 "비가 와서 물이 늘어나는 것과 물을 막아서 늘리는 것은 구분할 필요가 있다"며 "아무리 물이 많아도 고인 물에서 수질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영창 기자 anti092@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