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몰된 천안함의 실종자 구조 작업이 장기화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군은 사고 발생 닷새째인 30일 잠수요원 170여명을 총동원해 함수(艦首)에 위치한 함장실 진입로를 확보하는 등 구조 작업에서 일부 진척을 보았지만 대부분의 실종자들이 모여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함미(艦尾) 진입에는 실패했다. 잠수요원들이 거센 물 흐름과 체력 소모로 악전고투하고 있는 가운데 해군 특수전여단(UDT) 요원까지 순직해 분위기가 크게 위축됐다. 31일부터는 기상도 악화할 것으로 예상돼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기식 합동참모본부 정보작전처장은 오후 브리핑에서 "함수 쪽은 출입문 개척이 완료됐으나 함미 쪽은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며 "상황이 워낙 급박해 물살이 잔잔해지는 정조 시간과 관계없이 작업할 수 있는 시간이면 잠수요원들이 계속 (물에) 들어가고 있지만 선체 진입이 굉장히 어렵다"고 말했다. 함미는 왼쪽으로 90도 기울어 가라앉으면서 복도 부분이 뻘에 박혀 있고 사고 당시 충격으로 출입문도 뒤틀린 상태다.
해난구조대(SSU) 전문장교인 송무진 중령은 "구조 작업은 선체 탐색과 공기 주입, 출입구 확보, 생존자 확인의 순서로 진행된다"며 "선체 탐색이 70~80% 완료했고 공기도 주입했지만 함미 진입은 3, 4개 격실문을 통과하는 고난도 작업"이라고 말했다. 이날 구조 작업은 오후10시25분께 종료됐다.
한편 사고 원인은 외부의 공격 쪽으로 좁혀져 가는 분위기다. 이날 이명박 대통령이 백령도 해상 앞 독도함을 방문한 자리에서 김성찬 해군참모총장은 "탄약고 등 내부 폭발은 없었다"며 "(기뢰와 함께) 어뢰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한다"고 보고했다. 장수만 국방부 차관과 군 관계자들도 김형오 국회의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내부 폭발보다는 외부 충격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사고 해역을 조사한 결과, 암초도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기뢰에 의한 폭발 가능성에 대해 "6ㆍ25전쟁 당시 북한이 설치한 기뢰가 (서해에) 남아 있을 수도 있고 1970년대 북한 침입에 대비해 (한국군이) 해안가 쪽에 설치한 폭뢰가 다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실종자 중 사망자가 나올 경우 보상금(병사 기준 3,600만원)을 크게 올려 지급하는 대책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광수 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