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들어 분주하게 진행됐던 북핵 6자회담 재개 노력이 결실을 맺어가는 모양이다. 미 국무부 공보담당차관보는 지난 주말 6자회담이 수 주 또는 수 개월 내에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방미 중인 우리 정부 고위당국자는 6자회담 재개 시기를 "3, 4월 정도"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망했다. 관건은 북한의 결단이지만 관련국들의 노력에 따라서는 조기 재개도 기대해 볼 수 있겠다.
이 같은 낙관적 전망은 지난 26일 워싱턴에서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 간에 열린 양국 장관급 전략대화 후에 나왔다. 양국 장관들이 지난달 초 왕자루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의 방북에서 시작된 6자회담 관련국들간의 대화와 조율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회담 조기 재개에 힘을 쏟기로 의견을 모았다는 뜻이다. 양국 전략대화에서는 6자회담 재개에 앞서 북미 추가 양자대화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도 이뤄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 말 스티븐 보즈워스 미국 대북정책특별대표의 방북을 통한 북미 양자대화 이후 2차 북미 양자대화를 요구해왔다. 미국이 그 동안 부정적이었던 입장에서 선회해 추가 북미양자회담에 응하기로 한 것은 이 같은 요구를 수용한 셈이다. 물론 여기에는 6자회담 복귀 일정을 분명하게 해야 한다는 전제가 있다. 미국이 6자회담 복귀 시기가 모호한 상태에서 추가 양자대화에 응할 리 없는 만큼 북한은 이 전제를 받아들이고 6자회담 재개 수순을 밟아 나가야 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6자회담이 재개된다고 해서 북핵 폐기 논의가 순탄하게 진행되리라고 기대하기는 어렵다. 북한이 제재 해제와 평화협정 논의 진전 등을 내세워 언제든지 회담을 지연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국제사회의 기류에 비춰 제재와 대화의 병행이라는 원칙이 바뀔 가능성은 희박하다. 북한은 이런 현실을 냉정하게 읽고 6자회담 복귀를 서둘러야 한다. 관련국들도 회담 재개만 급급하지 말고 실질적 진전을 보장하는 논의 구조를 만들어가는 한편, 북한의 결단을 앞당기기 위한 일관된 신뢰를 북한에 보여줘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