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임장관을 제외한 정부 15개 부처 장관의 업무수행 능력을 평가한 결과가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한국일보가 여야 국회의원 226명의 평가를 종합한 결과(2월 24일자 보도) 최경환 지식경제부, 김태영 국방부,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임태희 노동부,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반면 백희영 여성부,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현인택 통일부 장관 순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의원들은 국회 상임위 활동 등을 통해 각 부처 장관, 고위 간부들과 자주 만날 수 있다. 장관 개인의 자질과 능력은 물론, 부처의 업무 환경과 분위기, 심지어 부처의 '내부 평가'정보에까지 밝게 마련이다. 이런 의원들이 전문성과 비전제시 능력, 업무 추진력과 성과, 조직관리 능력 등을 고루 평가했다면 일단 믿음이 간다.
언뜻 정치인 출신 장관들이 모두 높은 점수를 받은 것과 달리 학자 출신 장관들의 점수가 낮은 데서 의원들과의 개인적 친소 여부가 평점을 좌우한 것처럼 비치기도 한다. 그러나 정치인 출신이 아닌 김 국방장관이나 학자 출신인 이 행안부 장관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아 이런 의심은 많이 누그러진다.
설사 의원들의 편견이 일부 영향을 미쳤더라도 법치국가의 원리상 의원들의 평가 자체는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국민 생활과 관련이 큰 중요 정책 대부분이 결국 국회 입법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장관이 의원들로부터 낮은 평가를 받아서는 부처의 업무 수행이 매끄러울 수 없다. 대의기관의 평가에는 주권자인 국민의 뜻이 반영됐음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따라서 점수가 낮은 장관들은 구차한 이유를 달기보다 스스로 질책하고 분발해 마땅하다.
이번 평가는 집권 3년째로 접어든 이명박 정부의 원만하고 효율적인 국정운영에 각료 인선이 얼마나 중요한지도 일깨운다. 집권 이래 자주 지적된 소통과 조율 부족도 따지고 보면 장관들의 책임이 작지 않다. 대통령의 뜻을 실행하기에 급급한 '행동대장'장관보다 부처의 통합적 지혜를 모아 대통령과 함께 정책을 만들어가는 장관들이 다음 개각 때는 더 많아지길 기대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