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학년도 대입 전형에서 각 대학들이 교육과학기술부의 재정 지원을 통해 입학사정관제를 속속 도입했으나 곳곳에서 한계가 드러났다.
우선 고비용 문제를 지적하는 대학들이 많았다. 서태열 고려대 입학처장은 "입학사정관제는 전형 단계를 세분화하고 다양화할수록 학생들의 면면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그럴 경우 비용은 그만큼 더 증가하기 때문에 고민"이라고 말했다.
대학 입장에선 입학사정관제 전형 확대를 고려해 볼만 하지만 전형에 필요한 막대한 비용 확보가 만만치 않은 과제라는 뜻이다.
대학이 필요로 하는 역량과 자질을 함께 갖춘 입학사정관 인력풀이 부족한 것도 걸림돌로 꼽힌다.
A대 입학처 관계자는 "전문성을 넘어 도덕성과 책임감 등을 두루 갖춘 입학사정관을 찾기란 쉽지 않다"고 털어놓았다. 이 때문에 상당수 대학들이 전임입학사정관 채용 비율이 낮다.
정부가 입학사정관제의 방향을 아예 정해 놓은 부분 역시 대학으로선 족쇄로 작용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박상규 중앙대 입학처장은 "대학별로 고유의 교육 목표가 있고 원하는 인재상이 다를 수 있으나 정부는'사교육비 절감과 학력주의 타파'를 입학사정관제 역할로 못박고 있어 난감하다"고 지적했다.
입시 과열 원인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없이 입시 제도나 교육 정책 변경에만 집착할 경우 입학사정관제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일각에서는 입학사정관제 면접이 갖는 한계를 꼬집는 목소리도 있다. B대 입학처장은 "면접 전형 때 입학사정관마다 질문의 편차가 커 '운이 당락을 좌우하는 것 아니냐'는 인식이 학생들 사이에서 팽배한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박철현 기자 kara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