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남북간 물밑 논의는 지난해 8월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직후 북한조문단이 서울을 방문할 때부터 진행됐다. 김기남 북한 노동당 중앙위 비서와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등 북한의 고위급 실세들로 구성된 조문단이 서울에 오면서 꽉 막혔던 남북간 대화가 재개되기 시작했다.
김기남 비서는 이명박 대통령을 예방한 자리에서 정상회담 개최를 희망한다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 뒤 지난해 10월 싱가포르에서 임태희 노동부장관과 김양건 부장이 만나 남북 정상회담 개최 방안을 놓고 본격적으로 협상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의제와 회담 장소 등을 놓고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측은 정상회담을 계기로 송환이 가능한 국군 포로 및 납북자 수를 명시해달라고 요구했고, 북측은 확답은 피한 채 대규모 경제지원을 요구함으로써 접점을 찾지 못했다.
협상이 난관에 부딪치자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북한 노동신문은 한동안 주춤했던 대남 비난을 다시 시작했고, 현인택 통일부장관을 구체적으로 거명하면서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 대통령이 이 과정에서 국정원을 공식적 대북접촉 창구로 결정함으로써 국정원은 대북 창구를 김숙 1차장 중심으로 개편했다. 그 뒤 원세훈 국정원장과 김 차장이 대북 접촉을 주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군부의 ‘보복 성전’ 발언 등 돌발적인 악재에도 불구하고 남측의 국정원과 북측의 통일전선부가 중심이 된 양측의 대화는 끊이지 않고 지속돼 결국 이날 ‘남북정상회담의 연내 개최 가능’이란 이 대통령의 언급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현인택 통일부장관이 29일 KTV ‘정책대담’프로그램 녹화(31일 방영)에서 “이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을 열어둔 만큼 볼은 북한의 코트에 가 있다”고 말한 것은 조기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그간 남북 정상회담은 2000년 6월과 2007년 10월 두 차례 평양에서 열렸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항공편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은 육로를 통해 평양에 가서 김 위원장을 만났다. 연내에 회담이 개최되면 세 번째 남북정상회담이 된다.
다보스=염영남 기자 liberty@hk.co.kr
김이삭기자 hir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