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의 진화론과 불교의 존재론ㆍ발생론의 핵심 사상인 연기론(緣起論)의 접점을 모색하는 심포지엄 '다윈과 불교의 만남'이 불교 전문언론 미디어붓다와 불교문화 주최로 27일 서울 마포 다보빌딩에서 열린다.
진화론은 유구한 역사만큼이나 개념적 정의와 논지도 다채롭지만 그 핵심은 생명의 발생ㆍ진화 과정에서 '신(神)의 기획'을 부정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진화론은 종교, 특히 기독교의 창조론 및 지적설계론과 다층적으로 대립해왔다. 반면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긴다'는 깨달음인 불교의 연기론은 진화론과 부분적으로 삼투해왔다. 올해 다윈 탄생 200주년, '종의 기원' 출간 150주년을 기념한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 과학자들과 불교학자들이 양자의 근원적 차이와 학문적 통섭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인 셈이다.
이한구 성균관대 철학과 교수는 "기독교의 세계불변론, 창조론, 지적설계론 등 본질주의ㆍ결정론에 비해 불교의 연기론은 진화존재론의 반본질주의, 비결정론, 무목적론과 논리적 유사성을 갖춘 이론"이라고 진단한다.
홍성욱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도 "불교는 인간과 동물의 근본적인 차이를 인정하지 않으며, 윤회설과 연기설은 모든 종을 '생명의 나무'로 연결된 존재로 보는 진화론과 형식적으로도 유사하다"고 지적한다. 홍 교수는 "다만 업의 인과율이나 자비심 등의 내용이 진화론과 접점을 찾으려면 21세기 종교의 역할에 대한 고통스러운 대답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인다.
생물학자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는 "불교와 다윈주의의 유사성은 많지만 모두 표상적 수준이며 불교의 무아론과 사후 자아 존속 문제 등 근본적 차이는 엄연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하지만 유전자 눈높이에서 철저히 겸허하게 바라보는 생명과, 불교의 무상함과 공(空)의 개념으로 바라보는 생명이 크게 다르지 않은 만큼 통섭의 가능성은 있다"고 밝힌다. 심포지엄에서는 김성철(동국대), 우희종(서울대) 교수 등이 토론자로 나선다.
최윤필 기자 walde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