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빅뱅'으로 불리는 방송산업의 지각변동이 일어날까. 헌법재판소의 미디어법 '유효' 결정으로 종합편성채널의 등장이 가시화됨에 따라 방송사업자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종편의 등장은 방송업계의 지각변동을 일으킬 진원지로 평가받아 왔다. 사업자의 콘텐츠 개발 능력에 따라서는 종편이 지상파TV를 위협하는 존재도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종편은 영화나 보도, 쇼핑 등 특정 분야만을 다뤄야 했던 기존 방송채널사업자(PP)와 달리 다양한 분야의 편성권을 가질 수 있다. 지상파TV처럼 오락프로그램과 드라마 등을 방영하면서 보도 기능까지 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편성권에서 경쟁력을 지닌 종편이 특혜성 정책적 지원까지 얻을 경우, 대략 3,000억원으로 예상되는 막대한 초기 사업비에도 불구하고 조기 연착륙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종편 채널 진출을 노리는 사업자들은 의무전송채널 지정, 지상파TV와 인접한 채널 번호 확보를 요구하고 있다. 의무전송채널로 지정되면 케이블TV에 가입한 전국 1,500만 가구에 의무적으로 방송이 된다.
케이블TV업계가 통상 600만 가구 이상 전송을 특정 PP 생존의 바로미터로 간주하고 있는 데서, 의무전송채널 지정의 효과를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긴장의 끈을 바짝 조일 수밖에 없는 것은 기존 PP들이다. 방송계는 종편 등장으로 중소 PP들이 수익에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CJ미디어, 온미디어 등 대형 PP들도 경계의 눈초리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CJ미디어의 한 관계자는 "광고시장의 파이가 확대된다 해도 크게 늘지는 않을 것"이라며 "종편 등장을 상당히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보도전문채널 YTN이 최대의 피해자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보도 기능을 갖춘 종편의 등장과 함께 보도전문채널의 추가 허용도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상파TV는 '관망' 분위기다. 태풍의 영향권에서 아직은 많이 벗어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지상파TV의 한 관계자는 "종편은 콘텐츠를 만들어낼 실탄(제작비)이 지상파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다"며 "최소 10년 정도까지는 경쟁상대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권호영 한국콘텐츠진흥원 산업분석실 연구위원은 "종편의 등장으로 방송업계의 경쟁 심화가 예상된다"며 "PP가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가장 크며, 장기적으로는 종편이 지상파TV의 경쟁자로 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종편을 둘러싼 방송환경의 가변성이 너무 크기 때문에 섣부른 판단은 아직 이르다는 의견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언론학자는 "정부 정책에 따라, 종편의 등장이 아무런 영향을 안 줄 수도 큰 영향을 줄 수도 있다"며 "근본적으로 전체 방송산업을 키우고 공정경쟁을 유도하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잡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라제기 기자 wender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