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첫 주민 직접선거를 통해'교육 소통령'으로 불리는 서울시교육감 자리에 올랐던 공정택 교육감이 29일 불명예 퇴진했다. 대법원이 당선무효형을 확정함으로써 50년 교육인생을 쓸쓸히 마감하게 됐다.
공 교육감은 상고심을 앞두고 "이대로 물러난다면 개인은 물론이고 교육계에도 씻을수없는 불명예를 안기는 결과가 될 것"이라며 대법원의 선처에 한가닥 기대를 걸었으나, 결국 물거품이 됐다. 그는 이날 퇴임식에서 "부득이한 사유로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서울 교육을 떠나게 돼 대단히 죄송하고, 서울 교육에 누를 끼쳐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계층 간, 교원단체 간 갈등 속에서 아이들이 모두 만족하는 교육에 모든 것을 바치고 싶었고, 서울 학생들의 학력 신장과 공교육 회복에 초석이 되고 싶었는데 완수 하지 못했다"면서 중도하차에 대한 안타까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1957년 전북 이리동중에서 첫 교편을 잡은 그는 서울 덕수상고 교장, 서울 강동교육장, 남서울대 총장, 서울시교육위원회 교육위원 등 현장과 행정경험을 두루 거치면서 서울시 교육을 주도해왔다.
2004년 8월 학력신장을 기치로 내걸어 교육감에 당선된데 이어 첫 직선도 승리함으로써 5년째 교육감 자리를 지켜왔다.
공 교육감은 수월성 교육에 큰 비중을 두는 정책을 취했다. 카리스마 넘치는 뚝심의 리더십으로 '학력 신장'과 '경쟁유발'에 관한 한 어떠한 타협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참여정부시절 옛 교육인적자원부와 심각한 마찰을 빚으면서도 국제중 설립, 학력평가 확대 등 수월성 정책들을 모두 관철시켰을 정도로 강한 추진력을 발휘했다. 서울 지역에서 내년부터 처음 선보일 고교선택제도 공 교육감의 '학력신장' 동력이 반영된 결과라는 게 교육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 때문에 "초중고생의 학력 신장에 기여한 부분은 인정해야 한다"는 평가가 적지 않지만, 전국교직원노조 등 진보성향의 교원단체와 학부모단체 등은 "학생들을 지나치게 경쟁으로 몰아넣었다"며 비판하고 있다.
공 교육감은 중도사퇴 불운 외에 국가에서 보전받은 선거비용 28억5,000만원까지 고스란히 물어내야 할 상황에 처해 이중의 고통에 시달릴 전망이다.
박관규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