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남북정상회담을 타진하기 위한 물밑 접촉설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20일에는 이명박 대통령의 친형인 한나라당 이상득 의원과 북한에서 대남정책을 총괄하는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이 중국 또는 인도네시아에서 회동했다는 설이 제기됐다.
한 방송사가 이 같은 내용을 보도하자 이 의원과 청와대는 즉각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함으로써 두 사람의 비밀 회동설은 일단 근거가 희박한 것으로 정리되고 있다.
이 의원은 회동설에 대해 "얼굴도 이름도 모르는 사람을 어떻게 만났다는 말이냐"며 강력히 부인했다. 이 의원은 "지난 14, 15일 국정감사 참석차 인도에 있었고 베이징에 있지도 않았다"면서 "18일 특사 자격으로 인도네시아를 방문,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고 국회의장 등을 만났을 뿐"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도 "(회동설은)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소설 같은 얘기"라고 밝혔다.
이 의원-김 부장 회동설은 김 부장이 15일 중국 베이징(北京)에 도착했다가 이날 평양으로 돌아간 사실이 확인되면서 시작됐다. 때마침 이 의원도 이날 자카르타에서 열린 인도네시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기 위해 18일 현지에 도착했다. 한 외교소식통은 "김 부장의 행적이 확인되지 않는 바람에 그가 중국을 거쳐 인도네시아나 싱가포르 등에 갔고 거기서 이 의원을 만났다는 설들이 제기된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김 부장 일행에는 남북간 막후 접촉 실무자였던 원동연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실장도 포함돼 있어 주목을 받았다.
그 동안 정치권에서는 남북관계 경색 국면을 풀기 위해 이 의원이 막후에서 움직이고 있다는 첩보들이 적지 않았기 때문에 이번 회동설에도 민감한 시선들이 모아졌다.
두 사람의 회동설은 해프닝으로 정리됐지만 최근 남북정상회담을 준비하기 위한 물밑 움직임들이 계속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우선 미국 국방부 고위 관리가 지난 14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이명박 대통령을 초청했다"고 브리핑했다가 백악관이 "오해에서 비롯됐다"고 해명한 것도 심상치 않다. 조기 개최는 아니더라도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이 거론됐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북중정상회담(5일) 이후 닷새 만인 지난 10일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가 이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김 위원장의 남북관계 개선 의지를 전하면서 남북정상회담설이 불거지기도 했다. 지난 8월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때도 북한 특사 조문단이 서울을 방문해 이 대통령 등을 만나는 과정에서 '남북관계가 진전되면 정상회담도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얘기도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북 소식통은 "아니 땐 굴뚝에 연기가 날 리가 없다"며 "최근 남북간의 해빙 무드를 감안하면 양측이 중장기적으로 정상회담 개최를 염두에 두고 대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정상원 기자 orno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