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의 집권 중반기 구상을 보여줄 인적 쇄신의 핵심은 국무총리다. 인물난과 이 대통령의 신중한 인사스타일 등을 들어 유임론도 나오고 있지만, 대통령이 이미 중도실용과 친서민, 국민통합 등의 새 국정화두를 분명히 제시한 만큼 이를 앞장서 실현할 새로운 총리의 기용은 불가피한 상황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충청권 총리론’부터 ‘50대 총리론’ ‘여성 총리론’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안이 제기되고 있다. ‘충청권 총리론’이야 자유선진당과 권력분점 수준의 논의가 전제돼야 하는 만큼 애당초 현실성이 적은 가설이었지만, 우리는 어쨌든 지나치게 정치공학적으로 판단하거나 부분적 상징성을 내세우는 방식의 총리 인선에는 찬성하지 않는다. 총리는 대통령과 국정을 분담함으로써 정부의 성패를 직접 좌우할 수 있는 자리인 만큼 오직 개인적 자질과 능력이 그 선정 기준이 돼야 한다고 믿는다.
사실 총리에게 필요한 자질은 헌법에 명시된 역할 규정에 그대로 나타나 있다. 대통령을 보좌해 행정 각 부를 통할하는 실무장악능력, 국회동의를 얻는 데 반드시 필요한 도덕성과 청렴성, 국무위원을 제청하고 해임을 건의할 수 있는 인사능력 등이다. 여기에다 정권 초기 민심 이반을 초래한 요인이기도 했던 특정 계층이나 종교, 지역성에서 자유롭다면 기본적 요건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현 시점에서 총리에게 요구되는 제일 덕목은 소통과 통합능력이다. 대통령의 중도실용이나 친서민으로의 정책 전환 역시 소통과 통합지향의 다른 표현이라고 본다면 새 총리의 역할은 더욱 분명해진다. 이념과 계층을 넘어 국민과 정파를 함께 아우를 수 있는 사회통합형 중립인물이 적임이라는 뜻이다. 서민적 풍모와 진정성으로 재난 등의 위기 때마다 민심을 다독이며 국민통합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하고 있는 중국의 원자바오 총리 같은 인물이 하나의 참고모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원칙으로, 매양 거론되는 정치권 주변인들을 넘어 각계에서 존경 받는 인사들로 인선 범위를 과감하게 넓혀볼 필요가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