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려 77일 간의 장기 파업이 끝났지만 쌍용자동차의 미래는 여전히 안개 속이다. 앞으로 조업 재개, 법원 회생계획안 제출, 채권단 동의 등 난제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재계에서는 이 같은 첩첩산중의 회생절차를 거친다 해도 생존 가능성은 장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도 적지 않다.
쌍용차가 살아나려면 서둘러 공장을 재가동하는 게 급선무다. 생산을 재개해 생사의 칼자루를 쥔 법원과 채권단에게 생존 의지와 가능성을 보여줘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당초 사측은 "파업 종료 후 일주일이면 생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혀왔다. 그러나 6일 기자회견장에서 이유일 법정공동관리은 "생산 시설에 큰 피해는 없다"면서도 "정상 가동까지는 최소 2~3주 가량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우선 시설 점검과 보수에만 적어도 며칠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생산의 특성상 각종 시설이 정밀하게 가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사측은 일단 프레스 공장과 차체 조립 라인은 피해 정도가 덜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충돌 과정에서 자재창고 등 공장 곳곳에 불이 났고 부품을 공급하던 협력업체 중 120여 곳이 부도 또는 휴업상태다.
2일 노조를 압박하기 위해 내린 단전조치로 인해 도장 1, 2공장의 도료가 응고될 것을 우려했으나 다행히 별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쌍용차 관계자는 "도장 2공장에서는 경찰의 채증 작업이 끝나는 7일 점검에 들어가겠지만 비상발전기가 가동돼 큰 이상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도장1공장은 육안으로 보았을 때 이상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차를 생산하더라도 한때 250여 개에 달했던 판매망이 대부분 와해상태라 영업 정상화 또한 난제다. 이에 대해 사측 관계자는 "최근 차만 생산한다면 다시 영업을 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대리점이 140여 곳"이라며 "쌍용차 구매 국민운동을 펴서라도 영업을 정상화하겠다"고 말했다.
노사 협상을 타결하면서 당초 계획했던 구조조정안이 후퇴한 점도 사측 경영정상화에 '부채'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사측은 당초 974명 전원을 정리해고할 방침이었지만 이중 48%에 대해 고용이 유지되는 무급휴직을 결정함으로써 향후 회생과정에서 경영 부담으로 남게 됐다.
전문가들은 쌍용차 생존 가능성을 회의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무엇보다 브랜드가 바닥으로 곤두박질친 게 치명타다. 일부에서 제기하는 정부의 적극적 개입을 통한 생존 방법도 옳지 않다는 입장이 대세다. 김기찬 가톨릭대 경영학과 교수는 "생존 가능성이 낮은데 세금을 쏟아 붓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잘라 말했다.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도 "사태는 마무리 됐지만 여러 상황을 감안할 때 쌍용차가 시장에서 살아남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송태희 기자 bigsmil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