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 교육정책을 입안한 '李의 남자' 이주호(사진) 교육과학기술부 1차관이 27일 6개월여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1월 취임한 이 차관은 2월 초 한차례 기자간담회를 가진 이후 '잠행(潛行)'을 거듭했다. "업무 파악과 학교 현장 방문 때문에 눈코 뜰새 없었다"는 이유를 댔지만, 교과부 주변에서는 "지나치게 몸을 사린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이 차관은 이날 이명박 대통령이 내세운 친서민 정책의 전도사를 자처한 듯 했다. 그는 발언의 대부분을 이 대통령이 이날 라디오 연설을 통해 언급한 교육정책을 설명하는 데 할애했다.
"친서민 정책의 핵심은 바로 교육정책"이라고 운을 뗀 그는 "사교육비 부담없이 교육을 받는다면 얼마나 좋겠나. 자유롭게 공부하고 본인이 원하는 학교에 가면 얼마나 좋겠나. 바로 그런 차원에서 대통령 라디오 연설이 있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이후 논란을 빚고 있는 이 대통령의 '임기내 상당수 대학 100% 입학사정관제 시행' 언급을 시종 해명하고 방어했으며, 때론 맞장구를 쳤다. 그는 "입학사정관제의 중요성을 강조한 차원이었을 것"이라며 일단 방어에 나선 뒤 "입학사정관제는 입시 변화의 핵심으로, 학교 제도와 교육과정 개혁까지 포괄하는 주제"라고 이 대통령 발언에 적극 동조했다.
모든 전형을 100% 입학사정관제로 뽑는 게 가능하겠느냐는 질문에는 "일부 대학이 100% 입학사정관제를 할 수도 있을 것이며, 학생 입장에서는 많은 대학들이 입학사정관을 확대하면 의미가 있는 것 아니냐"는 말로 비켜갔다.
이 차관은 또 대통령이 입학사정관제 등 특정 제도를 지나치게 부각시킬 경우 교육 현장에서는 혼란이 우려될 수 있다는 지적에는 "(이 대통령이)교육으로 친서민정책을 강화하겠다는 의지가 커 보인다", "그 동안 MB교육정책이 '아이들을 경쟁으로 내몬다', '부자 정책이다' 등의 소문이 있었지만 그렇지 않다"는 말로 대신했다.
그는 이어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의 골격인 자율형사립고 신설 문제와 관련, "서울 13곳, 지방 10곳에 자율고를 지정할 방침"이라고 말해 내년에 전국적으로 30곳의 자율고를 지정하겠다는 정부 목표를 수정할 뜻을 비쳤다.
한편 예정에 없던 이날 간담회를 놓고 여러 관측들이 무성하다. 교과부의 한 과장급 간부는 "개각을 앞두고 대통령으로부터 확실한 신임을 받았기 때문에 언론에 얼굴을 드러낸 것 아니냐"고 말했으나, 다른 간부는 "입학사정관제와 관련한 대통령 발언의 파장을 조기에 차단하려는 목적"이라고 분석했다.
김진각 기자 kimj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