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새 외교 전략이 빛을 발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자립을 역설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11일 가나 연설에 국제사회가 열띤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식민통치에서 해방되면서부터 갈등과 분쟁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아프리카에 평화라는 싹이 움틀 것이라는 기대도 높다. 오바마는 일단 미국이 필요로 하는 자원이 풍부하고 군사적 요충지로 활용할 수 있는 아프리카에 직접 다가가 적극적 이미지를 심어줬다는 점에서 이번 아프리카 방문의 목표를 달성한 듯하다.
오바마는 부친의 모국이자 한때 아프리카 성공 모델로 각광 받았던 케냐 대신 가나를 첫 방문국으로 선택, 굿 거버넌스(건전한 통치)를 강조하고 독재자들을 비난함으로써 아직도 독재와 부패, 분쟁과 혼란이 난무하고 있는 아프리카 대륙에 큰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경제 분야에서는 원조 공여국과 아프리카와의 관계를 재설정할 것을 촉구하면서 투자와 무역이 보다 확대되려면 아프리카국들의 제도가 더 건실해야 할 것이라고 충고했다.
카메룬 두아라대학의 기파르페 송그 교수는 "오바마는 부패와 민주주의 결여, 인권 침해 등 아프리카의 현실을 반전시키도록 아프리카인에게 영감과 결단력을 심어줬다"고 말했다.
이러한 반향의 이면에는 흑인이라는 동질성을 앞세우며 '일방주의에서 벗어난 미국'이라는 인식을 각인시킨 오바마식 외교전략이 있다고 미 시사주간 타임은 전했다.
실제 오바마는 가나에서"내 몸에는 아프리카의 피가 흐른다", "미국은 처음부터 끝까지 당신의 파트너이자 친구" 등의 발언으로 각별한 감정을 표시했고, 아타 밀즈 가나 대통령이 "당신은 이제 고향에 돌아왔다"고 화답했다.
가나 민주통치연구소의 에마누엘 아퀘테이 소장은 "오바마가 아프리카와의 동반자관계를 역설하고 아프리카인들의 자결원칙을 강조한 것은 매우 중요하고 전례 없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오바마의 외교전략은 6일의 러시아 방문에서도 드러났다. 냉전 해체 이후 28년간 전혀 진전이 없었던 핵 군축 협상의 돌파구를 마련한 것이다. 외교 경험 부족이 약점으로 지적되던 오바마가 미국의 리더십을 복구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오바마의 외교 전략 중의 하나는 현실주의를 앞세운 젊은 층 공략이다. 구체적인 미래 과제와 목표를 젊은 층에게 던져줘 미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는 것이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민주주의 확산' '독재 붕괴'등 이상주의적 슬로건으로 국제사회의 거부감을 유발했던 것과 대조된다. AFP통신은 "오바마 대통령이 개혁 대상으로 지목한 짐바브웨에서는 민주화 움직임이 일 정도로 아프리카인들에게 오바마의 외교는 성공적이었다"고 전했다.
박관규 기자 ac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