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은 전문 해커를 포함해 500~600명 규모의 사이버전 요원을 운용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정보당국에 따르면 북한군은 인터넷을 수단으로 대남, 대미 첩보를 수집하고 전산망을 교란시키는 임무를 맡은 사이버전 전담부대인 '기술정찰조'를 운영하고 있다. 인민군 총참모부 정찰국 소속인 이 부대는 군 컴퓨터 전문요원을 양성하는 평양의 지휘자동화대학 졸업생 위주로 100여명이 활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총참모부 예하 지휘자동화국은 바이러스 전문요원, 참모요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커 요원 운용과 소프트웨어 개발 등의 임무를 맡고 있다. 또한 중앙당 산하 조사부와 통일전선부에도 각각 50여명의 요원이 배치돼 인터넷을 통해 남한 자료를 수집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군의 해킹 실력에 대해서는 분석이 명확하지 않다. 일각에서 "북한의 해킹 능력은 미 중앙정보국(CIA) 수준에 버금간다"는 평가도 나오지만, 인터넷망 등 기반시설이 취약한 데 따른 주민들의 인터넷 친숙도를 감안할 때 고급 해커들을 양성하기가 쉬운 환경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이에 따라 사이버전 부대 양성은 주로 중국의 지원을 받아 이뤄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 해킹 시도 역시 대부분 중국 현지에서 또는 중국을 경유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게 정보당국의 판단이다.
북한군의 실제 해킹 사례가 적발된 적도 있다. 지난해 8월 당국이 발표한 간첩 원정화는 군 장교의 명함을 수집, 북한측에 전달했고 북한군은 이를 토대로 일부 장교의 이메일을 해킹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킹 발원지는 중국이었다. 이는 중국발 해킹의 상당수가 북한 해커의 소행이라는 추정에 힘을 실어준다. 2004년 4~6월에는 해양경찰청, 한국국방연구원, 공군대학, 국회, 원자력연구소 등 다수의 중요 국가기관 PC 200여대가 이메일을 통해 해킹 당했다. 중국발 해킹이었지만 북한 소행이라는 의심이 높았다.
지난해에는 우리 군의 주요 무기체계를 생산하는 방산업체들 내부 컴퓨터 시스템에서 악성코드가 발견됐는데, 북한 또는 중국 해커의 짓으로 추정됐다.
국군기무사령부에 따르면 우리 군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하루 평균 9만5,000여건에 이른다. 바이러스 유포가 86%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직접적인 해킹 시도도 11%인 1만450건에 달했다. 군 장성과 주요 직위자를 대상으로 해킹 프로그램이 담긴 이메일을 무작위로 발송, 컴퓨터 내의 군사정보 자료를 빼내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진성훈 기자 blueji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