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국군체육부대 상무(尙武)의 축소 논란을 일으킨 것은 한 마디로 졸렬하다. 국방부는 '국방개혁 2020 기본계획'에서 현재 25개 종목 팀에 600명 규모인 상무를 2014년까지 5개 종목, 150명으로 줄이겠다고 밝혔다. 전투부대 중심의 군 구조 개편에 따라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체육계가 강하게 반발하자 "예산과 인력을 지원하면 20개 종목은 위탁관리 형태로 유지할 수 있다"고 슬쩍 물러섰다. 애초 예산 지원을 노리고 평지풍파를 일으킨 셈이다.
국방부에 따르면 상무의 한 해 예산 66억원은 국방예산의 0.02%이지만 운영비로는 큰 액수이다. 비전투부대에 그만한 돈을 계속 쓰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축구 야구 농구 핸드볼 럭비 유도 레슬링 배드민턴 등 20개 종목 팀은 없애고, 전투력과 연관성이 높은 육상 수영 태권도 사격 바이애슬론 5개 종목만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방침은 이해할 측면이 있다. 1984년 군과 국가 체육 진흥을 목적으로 창설된 국군체육부대는 체육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역도 레슬링 배드민턴 등 비인기 종목 선수들이 병역을 해결하며 선수 생활을 계속해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등 국제대회에서 많은 메달을 딸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국방개혁에 많은 돈이 필요한 상황에서 축구 야구 농구 등 프로스포츠 선수를 위한 팀 운영까지 계속 떠맡기 어렵다는 논리는 타당성이 있다.
문제는 체육단체나 문화체육관광부 등과 예산 분담 등을 논의하기보다 대뜸 축소 계획부터 밝힌 것이다. 충격 효과를 노렸겠지만, 대한체육회와 55개 가맹단체 등이 긴급하게 반대 건의서를 채택하는 풍파를 일으킨 것은 보기 사납다. 그토록 긴축이 중요하다면, 육상 수영 등 5개 종목은 굳이 남겨둘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다. 스포츠 팀과 군 전투력은 별 상관이 없다.
국군체육부대가 앞으로도 필요하다면, 관련 부처와 체육단체가 조용히 머리를 맞대고 의논할 일이다. 공연히 시끄럽게 분란을 일으키는 것은 정부 부처로서 무책임한 처사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