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시대의 북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한국토지공사 산하 토지박물관은 22일 경기 연천군의 고구려 성곽 유적인 호로고루(사적 467호)에 대한 3차 발굴조사 결과 '상고(相鼓)'라는 글자가 새겨진 북의 파편이 출토됐다고 밝혔다.
상고는 흙으로 만든 토고(土鼓)로, 이번에 발견된 것은 북 몸체 부분 파편 13점이다. 1.7㎝ 정도의 두께에 회흑색을 띠고 있으며, 보통의 고구려 토기처럼 마연(磨硏ㆍ표면을 문질러 윤이 나는 상태)을 했다.
북을 원래 모양대로 복원할 경우 원통(가죽을 붙여 북을 치는 부분)의 지름은 55cm 정도로 추정된다. 아가리 부분에는 일정 간격으로 3열의 구멍을 뚫어 가죽을 씌우고 끈을 묶어 고정할 수 있도록 했다.
고구려 고분인 안악 3호분에는 기마병들이 북을 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고려사'는 '상(相)'이라는 악기가 고려 때 송나라에서 들어왔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이번 발굴을 통해 이미 고구려 때도 존재했음이 확인되게 됐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악학궤범'은 '상'의 그림까지 그려 상세히 묘사했는데, 원통 지름이 49㎝라고 기록돼 있어 이번 출토품과 비슷하다.
상고의 용도에 대해 전통음악 전문가인 김세종 다산연구소 실장은 "발견 지점이 고구려 국경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적이 쳐들어올 때 신호로 치는 북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송혜진 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대학원 교수는 "토고는 무겁고 투박한 고식의 악기이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한 것이 아니라 각종 의식에 사용한 의기(儀器)였을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상고 외에 연꽃무늬 와당, 용마루에 장식했던 착고기와 등 고구려시대 유물이 다량 확인됐다.
김지원 기자 eddi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