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쇄신특위가 16일 내각 및 청와대의 대대적 개편을 건의키로 한 것은 새로운 출발에 인적 쇄신이 필요조건이라는 인식을 했기 때문이다. 4ㆍ29재보선 참패 이후 떠나간 민심을 되돌리기 위해선 대폭의 인적 쇄신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쇄신특위안은 사실상 내각 및 청와대의 전면 개편 수준이다. 땜질식 교체가 아니라 최소한 중폭 이상을 요구한 것이다. 그만큼 절박하다는 논리다. 특히 쇄신특위 내부적으로는 내각 개편의 요구 대상에 총리도 포함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한 쇄신특위 위원은 "한승수 총리가 잘못해서 바꾼다기보다는 인적 쇄신의 가장 큰 효과가 총리 교체라는 측면에서 제기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 총리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의 신임이 두터워 수용 여부는 미지수다.
쇄신특위는 이날 어떤 형태의 후임 총리가 바람직한가라는 논의까지도 했다는 후문. 그러나 이는 인사권자에게 맡겨야 한다는 쪽으로 결론이 났다고 한다. 당 안팎에서는 '화합형 총리론' 또는 내년 지방선거까지 고려한 '충청권 총리론'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한 총리 유임론도 만만치 않다.
정무장관 임명, 내각의 정무기능 강화도 핵심 건의사항이다. 그 동안 내각의 정무기능이 약하다는 지적이 수없이 제기됐다. 한 친이계 핵심 의원은 "장관이 정무적 판단을 전혀 하지 않고, 청와대 참모들도 정무적 보좌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게 소통부재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쇄신특위는 이를 보강하기 위해 정무장관을 새로 임명해야 할 뿐 아니라 다른 장관 자리에도 정치인들을 활용해야 한다는 건의를 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친이계 중진인 안상수 원내대표는 15일 "적어도 국회의원 2, 3명은 입각해서 국민의 소리를 정부 내에서 들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 대통합 및 대탕평의 인사는 지역, 학맥 등을 뛰어넘는 통합 인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여권의 폐단인 친이ㆍ친박 갈등을 치유하기 위해 친박 인사들을 과감히 등용하라는 촉구도 담겨 있다.
관건은 이 같은 요구를 이 대통령이 수용하느냐다. 현재로선 예단키 어렵다. 하지만 이 대통령이 '근원적 처방'이라는 화두도 던진 데다 시기도 시기인 만큼 쇄신특위의 건의를 무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특히 "쇄신특위의 처방이 청와대와 어느 정도 조율을 거친 뒤에 나온다고 봐야 하지 않느냐"는 관측도 있다.
한편 쇄신특위가 당초 국정 쇄신안을 마련한 뒤 이날 발표하려 했다가 한미정상회담 등을 이유로 공식 발표를 유보한 것을 두고는 "쇄신특위가 청와대의 눈치를 보느냐. 오락가락 한다"는 비판도 나왔다.
정녹용 기자 ltree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