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모 연구소의 조사결과, 우리나라 직장인의 실제 은퇴 시기가 희망 은퇴시기보다 6.7년이나 빠르며, 은퇴 대상자들 상당수가 은퇴 직전까지 준비를 하지 않고 있다는 다소 충격적인 발표가 미디어를 통해 전달됐다. 고령사회로 급속히 진입하고 있는 우리 사회는 삶의 질 향상, 의료 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해 기대수명이 갈수록 높아져, 현재 30~40대의 은퇴 후 생활 기간은 약 30년에 달할 것이라는 조사도 나오고 있다.
경제적 정년 이후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지는 기간이 예상보다 매우 길어지기 때문에, 노후 생활 준비를 미리 철저히 하지 않으면, '인생은 60세부터'라는 장밋빛 미래가 아니라, '고생은 60세부터'라는 잔인한 현실이 다가올 수밖에 없다.
한국은 불행하게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2007년 현재 60세 남녀 기대여명은 20.2세, 25.0세로,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고수준의 고령화 지수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노후 준비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인의 36.3%가 은퇴 준비가 없다고 응답해 다른 선진국에 비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자녀에 대한 과다한 투자'로 정작 자신의 노후 생활에 대비하진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또 65세 이상 고령자가구의'상대적 빈곤율'은 4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3%보다 3.5배나 높고, 독거노인의 월평균 소득은 26만 6,000원으로 1인 가구 최저생계비 46만3,000원에도 한참 못 미친다는 OECD통계는 섬뜩하기까지 하다. 특히 국민연금만 믿고 있다면 별도의 노후생활 재원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은 높아진다.
취업 후 평균소득이 월 200만원인 40세 가입자의 경우, 65세 이후 월 78만원 가량 국민연금을 받게 된다. 평균소득의 40%가 채 되지 않는 금액이다. 굳이 재정 고갈까지 고려하지 않더라도 국민연금은 최소 수준의 노후자금일 뿐 현재 생활수준을 보장해 주거나 질병 요양 등의 리스크에 대한 대안까지 되기는 힘들다.
노후가 미래시점의 일인 만큼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현실적인 수준의 현금흐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노후 준비의 관건일 것이다. 하지만 2008년 6월 증권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가계자산 중 금융자산의 비중은 20.4%(2006년)로, 미국(67.0%), 일본(61.0%)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반면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 비중(79.6%)은 미국(37.0%)과 일본(39.0%)의 2배나 된다.
많은 한국인들은 비금융자산을 노후생활수단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부동산의 경우, 지속적인 인구 감소 및 저출산 추세에 따라 부동산 자산의 가치 하락 리스크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펀드도 은퇴 시점에 따른 자산가치의 변동가능성이 매우 높고, 예금도 초저금리 기조로 인해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노후생활의 원활한 현금 흐름을 위해 갖추어야 할 것이 개인연금상품이다.
개인연금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과 노후생활 대비 효율적인 자산관리는 주목할 만하다. 개인연금은 주로 장기투자로 이루어지므로 복리효과를 누릴 수 있고, 기간과 통화를 분산 투자함으로써 자산 포트폴리오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준비되지 않은 노후생활은 축복이 아니라 재앙이다. 건강, 경제력, 취미활동, 동반자 등 행복한 노후생활을 위한 요소가 고루 갖추어져야 진정한 인생의 황금기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김명수 대통령실 정책홍보자문위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