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년 역사의 제너럴모터스(GM)이 파산 보호 신청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파산보호를 통해 강력하고 신속한 구조조정이 이뤄지면, GM은 우량하지만 덩치가 많이 줄어든 새로운 회사로 거듭날 전망이다. 또 정부가 당분간 GM의 지분 대부분을 보유해 사실상 국유회사로 운영된다.
결과야 어째든 새로운 GM의 출범은 현대ㆍ기아자동차를 비롯한 GM대우자동차 등 국내 완성차 업체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GM 구조조정은
GM은 28일(현지시간) 채권단에 채무조정을 위한 출자전환과 관련한 수정안을 제안했으며, 채권단 일부가 이를 수용키로 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정부가 제시한 자구책 제출시한인 6월1일을 앞두고 이뤄진 수정안 제안은 GM의 파산보호 신청이 임박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파산보호를 거쳐 새로 출범할 새로운 GM은 정부가 72.5%, 전미자동차노조(UAW)의 퇴직자 건강보험기금(VEBA)이 17.5%, 채권단이 10%의 지분을 갖게 된다. 부실자산을 떼어내고 우량자산만 남는, '굿(good) 컴퍼니'로 탈바꿈하는 셈이다. 미 정부는 GM의 파산보호 절차가 60~90일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GM이 정부나 회사의 기대만큼 빠르게 회생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미국의 자동차 판매가 27년 만에 최저로 떨어진 상황에서 기적적으로 차 판매가 늘어날 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 또 소비자들이 파산했던 회사의 자동차를 기꺼이 구입할지도 의문이다. 이로 인해 미국 시장에서 도요타-GM-포드로 이어지는 빅3 체제가 무너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GM대우 미래는
GM의 운명에 따라 GM대우자동차의 미래도 결정될 전망이다. 이로 인해 산업은행과 GM대우 간 줄다리기도 본격화되고 있다. 이 달 초부터 약 3주간 신경전만 벌이던 양측은 GM 본사의 파산이 임박하자 28일 직접 만나 3시간 반 동안 협상을 진행했다. 그만큼 급해졌다는 얘기다.
하지만 사정은 여의치 않다. 산은이 '뉴 GM' 중 '굿 컴퍼니'에 GM대우가 속하고, 핵심적인 소형차 생산기지가 되어야 유동성 지원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핵심쟁점은 기술 소유권 양도다. 이 달 초 산은은 유동성 지원의 전제 조건으로 GM이 보유한 추가 지분과 GM대우가 개발했던 기술 소유권을 넘겨 달라고 요구했다.
이날 협상을 마친 닉 라일리 GM 아시아태평양 총괄사장은 "협상이 건설적으로 잘 진행됐다"면서 "GM대우가 '굿 GM'에 속하도록 본사에 강력히 건의했다"고 말했다. 만약 GM대우가 '굿 컴퍼니'쪽으로 남고, 소형차 핵심기지육성 및 기술소유권 양도비전이 나온다면 산은도 자금지원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한대우 산은 부행장도 "GM대우의 장기성장 가능성을 비롯 독립적인 경쟁력 제고, 신규 지원자금의 회수보장이 향후 협상의 관건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같은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산은은 GM대우를 법정관리로 넣은 다음 새로운 주인을 모색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다음 협상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GM 본사에 대한 미국 정부의 결정이 내려진 후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한편 새로운 GM출범은 현대차를 비롯한 국내 기업들에게 단기적인 기회로, 장기적으로는 위협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손명우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GM이 파산하면 글로벌 자동차업계 전반의 심리는 나빠지겠지만, 현대차와 기아차는 상대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유인호 기자
최진주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