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례는 고향인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국민장으로 엄수된다. 공식 장의 명칭은 '고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이다. 유족과 일부 측근들은 가족장을 원했지만 결국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었던 고인의 마지막 가는 길을 국민 모두가 함께 하도록 하는 게 옳다'는 쪽으로 결론이 났다.
24일 정부의 잠정안에 따르면 노 전 대통령 국민장 기간은 7일(23~29일)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장ㆍ국민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할 수 있는 최대 기간이다. 정부는 서울 종로구 신문로 서울역사박물관과 서울역 광장 등에 대표분향소를 설치하고, 시ㆍ군ㆍ구 단위와 재외 공관에도 분향소를 차리는 것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봉하마을을 비롯해 전국 곳곳의 분향소에 애도의 물결이 이어지게 된다.
노 전 대통령의 영면은 29일로 예상된다. 구체적 장례 절차와 시간, 장소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으나 봉하마을과 인근에서 발인제와 영결식, 안장식 등이 거행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29일 오전 봉하마을에서 발인제를 거행하고 경남 김해시 진영공설운동장에서 영결식을 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진영공설운동장은 봉하마을에서 약 3㎞ 거리로 노 전 대통령이 지난해 10월 이 곳에서 열린 노사모 운동회에 참석했었다. 당시 그는 "정치적 상황이 좋지 않더라도 좌절하지 않으면 시민들의 역량에 따라 역사는 진보할 것"이라고 강조했었다.
선례에 따르면 영결식은 군악대의 조악 연주로 시작한 뒤 국민의례, 묵념, 고인 약력 보고, 조사, 고인 육성 근청, 종교 의식, 헌화와 분향 등의 순으로 진행되고 조총 발사로 끝을 맺는다. 소탈한 서민적 풍모를 지녔던 노 전 대통령의 뜻을 기려 식이 간소화할 가능성도 있다.
"화장해라. 집 가까운 곳에 아주 작은 비석 하나 남겨라"는 노 전 대통령의 유언대로 유해는 화장된 뒤 봉하마을에 안장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노 전 대통령의 유해가 청와대가 있는 서울이나 정치적 고향인 부산 등으로 이동해 국민과 마지막 인사를 할 가능성은 현재로선 낮아 보인다.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은 24일 브리핑에서 "앞으로 구성될 장의위원회가 유족 측과 긴밀히 협의해 전직 대통령 예우에 소홀함이 없도록 최대한 정성껏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와 노 전 대통령 측 사이에는 의견 차이가 뚜렷하다. 당장 장의위원회 위원장을 누가 맡느냐를 두고 신경전을 벌였다. 정부는 한승수 총리와 한명숙 참여정부 당시 총리가 공동위원장을 맡을 것이라고 보도자료까지 냈지만 노 전 대통령 측이 거부해 정부가 발표 내용을 취소했다. 또 정부가 노 전 대통령 지지자, 시민단체 등 민간 차원의 분향소 설치를 지원하되 장소를 실내로 제한하기로 한 것도 논란 거리다.
최문선 기자 moonsu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