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생산성을 감안한 실질 임금 증가율이 가장 뒤쳐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수록 우리나라 근로자들이 생산에 기여하는 것과 비교해서 실제로 받고 있는 임금 수준이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1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가 발표한 27개 회원국의 단위노동비용 조사에서 지난해 4분기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우리나라 뿐이었다. 우리나라는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4.3%, 전분기와 비교해서는 0.7% 감소했다.
단위노동비용은 재화나 서비스 한 단위를 생산할 때 지불하는 인건비를 뜻하는 것으로, 근로자들이 생산성을 높인 만큼 인건비가 상승하면 증가율이 0%가 된다. 즉,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이 마이너스라는 것은 근로자들이 생산에 기여한 만큼 임금을 받지 못했다는 의미다.
우리나라를 제외한 나머지 OECD 회원국의 작년 4분위 단위노동비용은 모두 증가했다. 룩셈부르크는 전년 동기에 비해 무려 10.0% 상승했고, ▦핀란드 6.9% ▦헝가리 6.8% ▦아일랜드 6.4% ▦노르웨이 6.1% ▦호주ㆍ뉴질랜드 5.6% 등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미국(2.5%) 영국(4.0%) 일본(2.9%) 프랑스(3.0%) 독일(3.5%) 등 선진국도 근로자의 실질 임금이 꽤 많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OECD 국가 평균도 2.9%에 달했다.
우리나라의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건 2007년 3분기부터. 벌써 6분기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반면 작년 3분기 마이너스를 기록한 폴란드를 제외한 나머지 OECD 국가들은 2007년 이후 단위노동비용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지속한다는 건 그만큼 근로자들이 생산에 기여한 것만큼 대접을 못 받는다는 의미"라며 "특히 요즘 같이 경기가 어려울 때 불황의 고통을 근로자들이 대부분 떠안게 된다"고 말했다.
이영태기자 yt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