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부터 대기업 구조조정이 본격 추진된다. 그간 채권금융기관 주도의 '자율적 기업 구조조정'을 강조해온 정부와 금융당국도 이번엔 적극적 개입을 통해 고강도 구조조정을 반드시 끌어내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실제 구조조정의 폭과 정도는 대기업의 반발정도와 급변하는 시장상황, 중소기업 피해 가능성 등의 변수에 따라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 사채출연ㆍ경영진 퇴진도 각오해야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3일 "재무구조가 취약한 그룹은 채권단과 현실성 있는 재무구조 개선약정을 맺고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며 "약정을 이행하지 않으면 주채권은행이 기존대출의 만기연장이나 신규대출을 중단하고 기존 여신을 회수하는 등 금융제재를 가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지난달 금융권 총 신용공여액의 0.1% 이상을 차지하는 45개 그룹에 대한 채권단의 재무구조 평가 결과 14곳이 불합격 판정을 받았으며, 그 중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체결할 그룹은 10곳 안팎이 될 것으로 전해졌다.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인 개별 대기업에 대한 구조조정도 급물살을 탈 예정이다. 채권단이 6월 말까지 개별 대기업에 대한 신용위험 평가를 끝내면 금융감독원은 7월 채권단이 제대로 평가했는지 점검할 계획이다.
김종창 금감원장은 지난달 30일 "만일 구조조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해당 채권금융기관장에 직접 책임을 묻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실제 대기업 구조조정을 집행할 채권단 역시 이번엔 강경하다. 채권단 관계자는 "이번 구조조정은 모든 수단을 동원해 강도 높게 진행할 것"이라며 "비핵심 계열사를 매각해 군살을 빼고 핵심 사업 위주로 개편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권단은 문제가 심각한 기업의 경우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확보하고 필요하면 그룹 사주가 사재를 내놓는 방안도 검토해야 하며, 만일 약정을 이행하지 못하면 경영진 퇴진도 요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 대기업 "일단 버티고 보자"
이처럼 정부와 채권단의 구조조정 의지는 높지만, 앞에 놓인 난관들이 만만치 않다. 일단 가장 큰 어려움은 약정체결 대상 그룹들의 반발이다. 이들은 이번 위기가 과거 외환위기 때처럼 방만한 경영으로 인한 인재(人災)가 아니라 글로벌 외생 변수로 인한 천재(天災)에 가깝다는 논리를 앞세우고 있다.
특히 기계나 반도체, 건설업 등 경기 민감형 업종을 거느린 그룹이 대부분이라 '칼'을 대기기 그리 쉽지 않다. 이들은 경기가 살아나면 금세 체력을 회복할 수 있다며 그 동안 모아둔 현금으로 버틸 때까지 버텨보자는 입장이다.
구조조정 강도를 가늠할 '주력 계열사 강제 매각'도 간단치 않은 문제. 자칫 경영권 침해 논란으로 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대기업 여신담당 임원은 "일부 그룹의 경우 부동산과 주식을 팔아 빚을 갚겠다고 자구계획을 내놓았지만 시장상황 탓에 팔리지 않고 있다"면서 "이럴 경우 계열사라도 팔아야 하는데, 기업 오너가 버티면 법정으로 갈 수밖에 없다"며 구조조정의 지연 가능성을 우려했다.
손재언 기자 chinason@hk.co.kr
문준모 기자 moonj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