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장들은 은퇴 연령인 50대 중반에 이르러서야 빚 부담에서 점차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계 빚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은 집값 상승 때문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은 16일 '가계 부채의 결정요인 분석' 보고서에서 2000~2007년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해 가계 부채를 분석한 결과, 가구당 부채 부담이 55세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가구주 나이를 40세 전후(35~ 44세)와 50세 전후(45~ 54세), 60세 전후(55~ 64세), 65세 이상 등 4개 연령층으로 나눠 각각 35세 미만과 비교했다. 가구당 부채 규모는 35세 미만에 비해 40세 전후가 177만원, 50세 전후가 119만원이 많았고 60세 전후는 478만원, 65세 이상은 2,045만원 적었다. 이는 44세까지 빚이 빠르게 늘었다가 이후 다소 줄어들기 시작하지만 본격적인 부채 감소는 55세부터 시작된다는 의미다.
소득 대비 부채비율(DTI)도 35세 미만보다 40세 전후가 3.59%포인트 높았고 50세 전후는 -0.85%포인트로 거의 변동이 없다가 60세 전후(-25.01%포인트), 65세 이상(-80.14%포인트)으로 갈수록 빠르게 줄어들었다. 보고서는 "55세를 기점으로 부채 규모와 비율이 줄어드는 것은 퇴직 연령에 임박해서도 부채 부담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부동산 가격 상승이 가계부채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이라며 "이로 인해 가계나 금융시스템이 부동산 충격에 취약해지고 자산효과로 경기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만큼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유지하는 가운데 가계의 실물자산 비중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용식 기자 jawohl@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