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 가운데 홍수와 가뭄, 혹서 등 기상이변과 그에 따른 재난에서 가장 안전한 곳은 어디일까.
환경분야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이 최근 16개 광역지자체의 지역별 최근 기상이변 발생 빈도와 대응능력을 종합 평가한 결과, 제주(4.43점)와 충남(5.52점)이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반면 대전(12.24점)과 서울(11.01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연구원은 지자체별 기후변화 취약성과 대응능력 평가를 위해 기후 노출(호우ㆍ혹서 일수, 최대 강수량 등), 기후변화 민감도(상하수도 보급률, 산림비율, 인구당 의료기관 수 등), 적응 능력(지역총생산(GRDP)ㆍ인구당 공무원수ㆍ인구밀도 등)과 관련된 33개 항목을 비교 분석했다.
대전의 경우 혹서와 혹한 등 극한 기후가 나타나는 정도(기후 노출지수ㆍ-22점)가 전체 지자체 가운데 3번째로 낮았으며, 적응능력 지수(57점)도 16개 지자체 중 3번째로 높았다. 적응능력이 최상위는 아니지만, 다른 지역보다 기후자체가 혹독하지 않기 때문에 기상이변에서 가장 안전한 곳이 된 것이다.
서울은 잦은 열대야와 낮은 녹지비율, 높은 인구밀도, 전국 평균의 3배에 달하는 아황산가스 배출량 등으로 이상 기후 노출(8위)과 민감도(12위) 측면는 모두에서 중하위권이었으나 다른 지역보다 압도적인 경제력 때문에 대응능력에서 높은 점수를 얻어 대전 다음으로 안전한 지역으로 꼽혔다.
제주는 폭우, 혹서 등에서 전국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험악한 기후조건 때문에 대응능력은 중위권 수준(6위)이었으나, 나쁜 점수를 얻었다. 반면 강원은 가뭄과 혹서 등 기후변화 수준은 제주와 함께 최악이었지만 낮은 인구밀도와 넓은 녹지면적 등의 영향으로 전반적인 안전성은 중상위권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유가영 책임연구원은 "실제로 자연재해 사망자 통계를 분석한 결과, 이번 분석에서 낮은 평가를 받은 제주와 충남의 초과 사망자가 대전과 서울의 10~15배 수준에 달했다"며 "낮은 평가를 받은 제주와 충남은 기반시설 투자를 확대해야 하며, 서울은 녹지 확충 및 대기질 개선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조철환 기자 chch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