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별, 시를 만나다] <1> 번개를 기다림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별, 시를 만나다] <1> 번개를 기다림

입력
2009.03.30 00:02
0 0

번개를 기다림 - 김기택

눈을 어둠으로 가득 채우고

해골처럼 어둠이 눈이 되도록 채우고

끝없는 어둠의 크기가 다 보이도록 별 없는 밤하늘을 바라본다

하늘나무

구름 속에서 태어난다는

땅과 하늘을 이을 만큼 커다랗다는

하늘에 뿌리박고 땅을 향해 거꾸로 자란다는

어둠을 쪼개서 그 벌어진 틈으로만 자란다는

허공에 뻗어 있는 무수한 핏줄을 찾아 그 속으로만 가지를 뻗는다는

온몸이 희디흰 빛으로만 되어 있다는

제 안에 넘치는 빛을 어쩌지 못해 나무나 사람을 태워 죽이기도 한다는

그러나 눈 깜짝할 새보다 더 짧게 살다 간다는

죽으면 땅에 묻히지만 흔적은 전혀 남기지 않는다는

그 하늘나무

온몸이 어둠이라 아직은 보이지 않는다

암쿠름과 수쿠름은 몸이 달아 자꾸 으르렁거리는데

땅과 어둠은 서로 으스러지도록 꽉 껴안고 들썩거리는데

암우주와 수우주는 서로 꼬리를 물고 돌며 똬리를 틀고 있는데

우주가 건네는 말은 지구에선 기상(氣象)으로 번역된다. 우주의 언어가 번역되는 그 순간은 얼마나 장엄하던가? 가령 그리스인들은 우주가 구름들 사이로 건네는 말, 번쩍이는 나무, 바로 번개를 신의 창끝으로 번역하지 않았던가? 우주에 뿌리를 두고 인간의 대지에 머리를 괴는 이 나무의 탄생은 땅과 어둠이 꽉 끌어안은 뒤에 찾아온다. 뢴트겐 광선 속에서 나무가 흰 뼈다귀를 드러내며 탄생하는 순간, 지구는 이 장엄한 나무 앞에서 공손히 우주의 품에 몸을 맡긴다. 인간들도 그렇게 한다. 한 점 티끌로 우주의 품속에 안겨있는 것이 삶임을 깨닫고, 번개 치는 하늘 아래서 마냥 두려워하며 겸손해진다.

●김기택 1957년 생. 1989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등단. 시집 <태아의 잠> <바늘 구멍 속의 폭풍> <껌> 등. 김수영문학상(1995), 미당문학상(2004) 등 수상.

서동욱(시인ㆍ서강대 철학과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