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고민 중이다. 어떤 행동, 어떤 노선을 취해도 국민들이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연말 연초 1차 법안전쟁에서 격렬한 저항으로 한나라당의 법안처리를 저지했을 때도, 2월 임시국회에서 막판 타협을 해도 당 지지도는 10%대 중반에서 요지부동이다.
이런 저조한 지지도는 대선 참패 이후 줄곧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파동 때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도가 한자리로 내려갔을 때도 민주당은 허덕였다. 엄밀하게 말하면 노무현 정부 후반기부터는 줄곧 이 수준이었다.
그래서 이명박 정부 초기에는 협조적 여야관계를 추구해보았으나 당내 반발과 지지세력의 이탈만 초래했다. 결국 강경한 선명노선으로 전환, 법안전쟁에서 국회폭력이라는 비난을 감수하면서까지 거친 몸짓을 보였는데도 민심은 오지 않고 있다. 민주당으로서는 너무도 답답한 상황이다.
'가난한 집에는 제사도 자주 돌아온다'는 말이 있듯이 민심이 이탈한 민주당엔 노선 투쟁도 자주 벌어진다. 2월 임시국회가 끝난 후 원혜영 원내대표에 대한 인책론이 대표적이다. 이런 책임 따지기는 앞으로도 사건이 있을 때마다 터져나올 것이다. 새로운 비전을 보여주겠다던 '뉴 민주당 플랜'이 아직도 나오지 않고 있는 것도 당내 복잡한 사정, 돌아오지 않는 민심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념적으로 중도가 답인지, 진보가 답인지도 불확실하고 타협의 정치에 무게를 실어야 할지, 선명투쟁을 택해야 할지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당내에는 민주당 살리기 해법을 놓고도 두 가지 기류가 있다. 비주류연합체인 '민주연대'와 개혁성향 '국민모임'등은 일관된 선명투쟁의 실패에서 원인을 찾는다. 국민모임의 문학진 의원은 "야당은 야당다워야 한다. 일관성 있는 정치세력으로 각인되려면 최소한의 정체성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 민주계 출신 김성순 의원도 "선명야당의 절대가치를 일관되게 고수하면 국민들이 언젠가 알아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정세균 대표를 중심으로 한 지도부와 중진그룹은 이번 국회투쟁을 진로수정의 터닝포인트로 삼고있다. 송영길 최고위원은 "앞으로 철저한 합법투쟁으로 국정의 한 축을 담당하는 견제야당으로 인정 받을 것이다. 분명히 대안야당으로 간다"고 말했다.
이런 노선투쟁과는 다른 차원에서 야당의 존재가치도 보여주지 못하는 애매한 태도에서 민주당의 부진을 찾는 시각도 있다. 포스커뮤니케이션 이경헌 대표는 "국민들은 소수야당의 한계를 잘 안다. 얼마나 절실하게 싸웠느냐가 중요하다"며 "10%대 지지율은 쟁점마다 절실하게 임하지 못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박석원 기자 s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