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어제 유명환 외교통상부장관과의 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그 어떤 주제보다 북한 문제에 있어 한미는 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한국과의 대화를 거부하고 한국을 비난함으로써 미국과의 관계를 얻을 수 없다고도 했다.
오바마 행정부 출범 후 일각에서 제기됐던 한미간 대북정책 공조의 균열에 대한 우려를 씻고 북한의 통미봉남 시도에도 쐐기를 박은 언급이다. 미국의 새 정부 출범 후 처음 열린 양국 외교장관회담에서 굳건한 대북공조를 재확인한 것은 평가할 만하다.
두 장관이 북한에 미사일 발사 움직임 등 도발행위를 중단하고 남북대화에 응하라고 촉구한 것도 이런 공감대를 바탕으로 했기에 더욱 힘이 실린다.
북한은 대포동 2호 미사일 발사를 강행하려는 움직임에 대한 경고를 흘려 들어서는 안 된다. 유 장관은 “아무리 인공위성이라고 주장해도 유엔 안보리 결의 1718호의 명백한 위반”이라고 상기시켰고, 클린턴 장관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탄도미사일을 비롯한 모든 관련 활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못박았다.
힐러리 장관이 서울행 기내에서 북한의 후계구도에 대해 공개적으로 우려를 표명한 것도 예삿일이 아니다. 그는 “미국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후계문제를 둘러싸고 북한이 위기에 봉착할 가능성에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감한 후계문제 거론에 북한 지도부가 강력 반발할 경우 북한을 대화로 이끌어 내는 데 역효과를 낼 개연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그러나 힐러리 장관이 기자 질문에 답하는 형식이었지만 작심한 듯 발언을 했고, 미 국무부 대변인도 미 국무부의 공식 견해라고 확인한 것을 보면 사정이 달라진다.
힐러리 장관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위협과 대남 공세가 후계구도를 둘러싼 북한 내부 기류와 무관하지 않다는 인식을 숨기지 않았다.
후계구도 공개 언급은 북한에 체제 내부 문제로 대외적 위기를 조성하는 행동을 중단하고 책임 있는 자세로 대화에 나서라는 주문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힐러리 장관은 어제 기자회견에서 “우리의 목표는 북한의 현 정부에 대처하고 현재의 리더십을 어떻게 6자회담의 협상 테이블로 복귀시키느냐는 것”이라고 말해 이 같은 해석을 뒷받침했다.
북한은 자신들에 대한 외부세계의 인식을 냉정하게 수용하고 지혜로운 결정을 내려야 한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의 그제 보도처럼 “물리적 충돌만이 시간문제로 남아 있다”는 식으로 위기를 고조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미사일 발사 움직임을 중단하고 대화에 나서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