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남한을 상대로 행동에 나선다면 언제쯤일까.
북한이 지난달 17일 군 총참모부 대변인 성명, 30일 조평통 성명, 1일 노동신문 논평을 통해 군사충돌 가능성을 경고하는 최후통첩을 보내면서 도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엄포에 그칠 것이라는 낙관론도 있지만 앞으로 1, 2달 안에 남북관계의 주요 일정이 많다는 점에서 극단적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도 적지 않다. 북한이 특정 행사에 맞춰 내부결속과 대남 압박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모종의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3월8일이 중대고비
전문가들은 우선 3월8일 열리는 1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선거를 주시한다. 북한은 당초 지난해 선거를 치르려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건강이상설이 불거지면서 미뤘다. 따라서 김 위원장의 건재를 과시하고 체제불안 기류를 불식하기 위해 이 즈음해서 강력한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높다.
과거에도 그랬다. 북한은 94년 7월 김일성 주석 사망 이후 불안한 고난의 행군을 계속하다 98년 9월이 돼서야 10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선거를 통해 김 위원장을 최고권력자로 추대했다. 당시 북한은 선거에 앞서 98년 6월 속초 북한 잠수정 침투사건, 8월 대포동 1호 미사일 발사 등 군사적 도발을 감행했다.
또 선거 이후인 99년 6월에는 1차 서해교전을 일으켜 긴장상태를 지속시켰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1일 "지난해 안팎으로 어려웠던 북한은 3월8일 대의원선거를 김정일 체제의 새로운 시작으로 보고 있어 그 이전에 내부결속을 다지는 계기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행동을 앞당길 수도
이명박 대통령의 취임 1주년인 25일도 변수다. 북한이 이날에 맞춰 움직인다면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에 확실하게 어깃장을 놓고 남남갈등을 부추기는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지난해 7월 이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 당일 금강산 총격 사망사고로 큰 파장을 일으킨 전력이 있다.
이달 19일 열리는 북핵 6자회담 실무그룹 회의도 포인트다. 국지적 도발을 하더라도 이날 회의엔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남한을 압박하되 미국은 자극하지 않는 통미봉남의 전술 차원을 구사하는 셈이다(동국대 김용현 교수). 북한이 아예 김 위원장 생일(1월16일) 이전에 도발을 감행한 후 6자 실무회의에 참여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이와 달리 3월 중순 이후 고 김일성 주석 생일인 4월15일 이전에 행동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 대북소식통은 "최고인민회의를 통해 내부결속을 다지는 것이 우선"이라고 분석했다.
김광수 기자 rollings@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