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야심차게 추진했던 건설ㆍ조선업계에 대한 선제적 구조조정 작업이 사실상 ‘헛방’에 그칠 판이다. 16일 채권은행들의 1차 ‘옥석가리기’ 결과, 퇴출대상은 전무하고 그나마 구조조정 대상도 고작 15개 안팎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은행에 즉각 재산정을 지시했지만 부실판정이 크게 늘어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관련기사 11면
금융감독 당국과 시중은행들에 따르면, 주채권은행들은 이날 92개 건설사와 19개 조선사를 포함한 111개 업체에 대한 자체 신용위험 평가를 잠정적으로 마무리했다.
먼저 건설사의 경우, 퇴출대상인 D등급 업체는 한 곳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고 구조조정(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을 받은 곳도 10~13개사에 그쳤다. 14개 업체의 주채권은행인 국민은행 등 상당수 은행들은 아예 C, D등급조차 없이 모두 B등급(일시적 자금난) 이상 판정을 내렸다. 업체 수가 30개로 가장 많은 우리은행도 C등급이 3,4개에 그쳤으며 농협도 C등급 2개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사 평가에서도 D등급은 없었으며 2,3개 업체가 C등급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업이 퇴출 절차를 밟게 되면 은행 입장에서도 부실여신 증가 등으로 부담스럽기 때문에 D등급 평가를 내리기는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기대에 훨씬 못 미치는 결과에 금융당국은 이미 15일 채권은행들에 신용위험평가 항목 중 ‘기타항목’(5점) 등을 조정해 C등급 업체 수를 늘리라고 주문한 상태다. 16일에는 “A나 B등급으로 구분한 업체가 6개월 안에 부도를 내거나 C등급으로 떨어질 경우, 문책하겠다”고 엄포까지 놨다. 일부 은행들이 이날 B~C등급 경계에 있는 업체들의 점수를 재산정하고 있어 C등급 업체가 다소(2,3개 가량) 늘어날 가능성도 있지만 퇴출 대상은 많아봐야 1,2개에 그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개별 주채권은행들의 1차 평가 결과를 토대로 다음주 중 채권은행단 사이의 이견조정을 거쳐 23일까지 최종 명단을 확정할 방침이다.
삼성경제연구소 전효찬 수석연구원은 “퇴출대상이 없다는 것은 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못한 결과”라며 “이런 추세라면 구조조정 작업은 상당히 장기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식 기자 jawohl@hk.co.kr
손재언기자 chinason@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