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제 국회 본회의장 앞 로텐더홀에서 차마 눈뜨고 보기 어려운 난장판이 벌어졌다. 점거 농성 중인 민주당 의원과 보좌관, 당직자들을 강제 해산시키려고 국회 사무처가 경위 및 방호원 140여명을 투입한 데 따른 네 차례의 물리적 충돌로 양측에서 100명 넘는 부상자가 나왔다. 거리의 패싸움에서 흔히 보는 주먹질과 발길질만 있었지, 누가 의원이고 보좌관인지, 경위나 방호원인지를 구분할 만한 행동 차이는 없었다. 한심하고 부끄러운 작태다.
여야와 국회사무처는 복잡하게 뒤엉켜 상호비난을 퍼붓고 있지만 마땅히 귀담아 들을 만한 게 없다. 다만 실현가능성이 거의 없는 강제해산을 무리하게 시도한 국회사무처의 어정쩡한 태도가 우선 눈에 띈다. 김형오 국회의장의 지시에 따랐을 것이라는 점에서 김 의장에게로 곧바로 쏠리는 의문이기도 하다.
강제해산에 대비해 '인간사슬' 태세까지 준비한 300명 가까운 인원을 경위와 방호원 약 140명으로 들어내기란 애초에 불가능했다. 아무리 여야의 틈새에 끼어 독자적 판단 여지가 좁았다지만 국회 수장과 사무처가 나쁜 인상을 남기고, 민주당의 대항 자세만 굳히는 역효과만 부르는 선택을 한 이유가 납득되지 않는다.
협상을 통한 원만한 해결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되, 도저히 어쩔 수 없는 한계에 이르렀다는 분명한 판단이 선 연후라면 모든 합법적 수단을 동원해 의사를 관철해야 의장의 권위가 산다. 국회의원을 뺀 보좌관ㆍ당직자의 선별 퇴거는 정치적 부담이 적었는데도, 어제서야 '직권상정 없음'을 사실상 약속하며 이들의 퇴거를 통첩했다. 때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그나마 마지막 협상의 디딤돌이 놓였다.
공은 다시 여야 지도부에 넘어갔다. 정세균 대표가 어제 약속한 대로 민주당이 국회 농성을 풀고 쟁점 법안 이외의 법안 처리에 임할 수 있을지 우선 주목된다. 마지막 담판의 불발을 이유로 잠정합의까지 뒤집을 태세인 한나라당 지도부가 민주당 제안에 접근해 쟁점법안 처리는 2월 임시국회로 일단 미루고, 나머지 법안만이라도 처리하려 할 것인지도 관건이다. 거듭된 물리적 충돌에서 교훈을 얻었다면 망설일 게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