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야지대로 흘러내린 산자락 끝에 형성된 자연 구릉을 절단해 무덤으로 이용한 특이한 사례가 국내 처음으로 확인됐다.
원광대 마한백제문화연구소(소장 최완규)는 1998년 전북 고창군 아산면 봉덕리 산47 일원에서 발견된 대형 분구묘(墳丘墓ㆍ봉분을 갖춘 무덤) 4기 중 1호분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은 방식으로 무덤이 축조된 것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1호분은 그 남쪽에 있는 봉우리인 태봉(해발 110.4m)에서 북서쪽으로 뻗어내린 구릉 끝 부분에 2호분과 나란히 위치하며, 규모는 장축 72m 단축 50m 높이 7m에 이르고, 정상부는 평탄하다.
봉분은 자연 구릉 한쪽을 잘라내 섬처럼 만든 다음, 이 과정에서 나온 흙을 그 위에 두께 2.5m 안팎으로 다시 쌓아올리는 방식으로 축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축조 시기는 5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1호분에서는 백제식 횡혈식 석실분이 2곳, 파괴된 석실분이 1곳, 그리고 소형 석곽묘 2기 등 모두 5곳의 매장시설이 확인됐다.
백제시대 무덤에서 흔히 발견되는, 하나의 봉분에다 여러 무덤을 조성하는 이른바 '아파트형 무덤'이다. 대부분이 도굴되기는 했지만 봉분 중앙에 위치한 3호 석실분(석실 기준 길이 307㎝, 너비 265㎝ 안팎) 내부에서는 많은 토기 조각과 함께 중국 남조시대 청자 조각이 출토됐다.
3호 석실분에는 신분이나 지위가 가장 높았던 사람이, 다른 무덤에는 그의 가족이나 후손들이 묻힌 것으로 추측된다.
김지원 기자 eddie@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