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실수했다. 그 실수에서 배우고자 한다.” 4일 미국 상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한 릭 왜고너 GM 회장은 의원들에게 한껏 자세를 낮춰 자금지원을 요청했다.
GM과 포드, 크라이슬러 등 미 자동차업계 상황은 지금 말이 아니다. 정부의 긴급 지원이 이뤄지지 않으면 곧 파산할 것이라는 우려 속에 수백만 명의 일자리가 위협받고 있다. 위기의 책임이 미래를 제대로 준비하지 않은 경영진, 그리고 자기 밥그릇 챙기기에만 열을 올린 노조에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 돼버렸다.
이를 의식한 탓인지 ‘빅3’ CEO들은 연봉을 사실상 받지 않겠다는 ‘1달러 연봉론’을 꺼내 들었고, 미 자동차노조(UAW)도 해고 노조원에게 연봉의 95%를 지급하는 ‘일자리 은행제도’ 개선 등 복지혜택 축소를 선언했다.
미 자동차업계의 위기는 이제 남의 일이 아니다. 지난달 국내 자동차업계의 내수 판매량은 최대 50%나 급감했다. 이에 따라 공장 가동 중단과 협력업체 도산이 잇따르고 있다. 이처럼 경영이 어려워지자 국내 자동차업계는 자동차 및 부품업계 유동성 지원, 유류세 인하, 할부금융사 지원 등 다양한 대책을 건의했고, 정부는 개별소비세 인하 등을 검토하기에 이르렀다.
문제는 자동차 노사가 국민의 혈세가 들어가는 지원책을 요구하면서도 고통분담 노력은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간 경영진은 때가 되면 파업하는 노조의 생떼에 쉽사리 손을 들었고, 대한민국 최고의 귀족 노조로 불리는 자동차 노조는 임금인상 등 복지혜택 늘리기에만 급급해온 게 현실이다.
정부는 “자동차업계가 망하면 큰 일 난다”며 특혜성 대책을 내놓기 전에, 자동차업계 스스로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고통분담 방안을 마련했는지를 따져봐야 한다. 위기라고 해서 무조건 퍼주기만 할 것이 아니다. 미국 자동차업계와 같은 불행한 최후를 맞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지 않은가.
박기수 경제부 기자 blessyou@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