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조선 다음으로 구조조정의 메스가 가해질 곳은 어디일까.
우선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이 가속화되고 있는 저축은행이 다음 타깃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확실하다. 저축은행의 PF대출 잔액은 그간 업계의 노력으로 다소 줄긴 했지만, 6월말 현재 12조2,000억원으로 전체 대출의 약 4분의 1에 이른다. 게다가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PF대출 연체율도 14.3%에 이르고 있다. 이는 시중은행권의 PF대출 연체율의 약 21배 수준. 때문에 최근 몇 달간 업계 1, 2위 저축은행까지 부도설에 시달려야 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899개 PF 사업장에 대한 전수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이달 중에 저축은행 PF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금감원은 사업장을 정상, 부실우려, 부실 등 3, 4개로 분류해 맞춤형 처방을 내놓을 계획이다. 그러나 조선, 건설업계와 같이 당장 구조조정에 착수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에 대한 구조조정은 당장 별도의 인위적인 계획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국제결제은행(BIS)의 자기자본비율 지도기준(5%)에 미달하는 등 관련 법규 요건에 해당되면 구조조정을 하게 될 것"이라며 "그 전까지는 다각적 연착륙 추진방안을 시도한다"고 설명했다.
그밖에 지난 몇 년간 세계적 호황의 과실을 누리며 급격히 덩치를 키운 업종들도 구조조정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조용준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최근 5년 동안 건설, 조선ㆍ해운, 철강, 금융 등은 호황 탓에 수요가 늘고 신설업체도 많이 생겼다"며 "경기침체와 함께 이들 업계에도 유휴 설비가 많이 남아 구조조정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안수웅 LIG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그간 우리나라를 먹여 살렸던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계 역시 내년 실적이 더 나빠지면 구조조정에 돌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박상준기자 buttonpr@hk.co.kr
문준모기자 moonjm@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