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3대 강국 프랑스, 영국, 독일은 G20회의에서 대 미국 압박의 공조를 취할 태세다. 전세계의 새로운 통화체계 즉 '뉴 브레튼우즈'의 수립과 금융기관 감시감독 강화, 국가간 금융규제 강화 등을 주장하면서 미국 주도의 세계 경제 질서의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각국마다 미묘한 입장의 차이가 있다.
가장 앞서가는 주자는 유럽연합(EU) 순회국 의장이기도 한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다. 사르코지 대통령은 지난주말 EU 지도자들과 브뤼셀에서 회동을 갖고 G20회의에서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감시기구 설립 ▦각국 회계체계 통일 ▦국경간 금융거래에 대한 감시협조기구 설립 ▦국제통화기금(IMF) 위상 강화 ▦오바마 차기 미대통령이 참석할 수 있도록 100일 내 G20 다시 개최 등의 의제를 공동 추진하기로 의견조율을 마쳤다고 워싱턴포스트가 13일 보도했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 당선자의 불참에 따라 미국의 발언권이 줄어든 틈을 타 G20 회의를 주도하겠다는 계획이다.
반면 고든 브라운 영국총리 역시 전세계에 금융위기 해결 모델을 제시한 자신의 업적을 바탕으로 G20 정상회의에서 주도권을 쥐려 한다고 AFP가 12일 보도했다. EU가 추진하는 공동의제 외에 ▦도하라운드 조기 타결을 통한 자유무역 강화 ▦각국 금리추가 인하 등 경기촉진 정책 등 독자 안을 내세워 중동 산유국과 신흥국들의 동조를 얻어낼 계획이다.
EU 공동 국부펀드 설립 등 프랑스 정부의 주요 제안을 좌절 시켰던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도 속도 조절을 주장하며 프랑스에 주도권을 쉽게 넘겨주지 않을 태세다. 메르켈 총리는 EU나 세계차원의 공조보다는 국가단위의 경기부양에 주력하고 있다.
일본은 G20 정상회담에서 명실상부한 세계 경제의 리더로 발돋움하려 하고 있다. 일본 정부관계자는 G20회담에서 아소 다로 총리가 신흥국 지원을 위해 IMF에 10조엔을 추가 출자할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3일 전했다.
회의에 초대 받지 못한 아프리카 국가들은 G20회담에서 곤경에 처한 아프리카국가에 대한 원조확대를 촉구하고 나섰다.
정영오 기자 young5@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