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패션(제조사 유통 소매 의류)에 대한 제도적 차원의 대응이 없으면 국내 패션의류업체들이 줄도산 할 것이다."
'자라' '유니클로' 등 해외 패스트패션 브랜드에 의한 국내시장 잠식을 막으려면 불합리한 관세 정책 수정 등 대응전략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됐다.
지식경제부가 지원하는 '패션산업 지식기반화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28일 서울 강남구 오크우드 호텔에서 열린 한국패션협회 주관 패션산업전략위원회에서 참가자들은 "국내 총 의류시장 규모를 30조원으로 볼 때, 수년 내 '자라' '갭' '망고' '포에버21' 등 국내 진출한 패스트패션 브랜드의 물량이 6조원에 달할 것"이라며 "시장점유율 20%를 내주면 국내 의류업체가 50개 이상 없어진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경각심을 촉구했다. 실제 '자라'가 롯데백화점 영플라자에 입점할 당시 이 곳에 있던 8개 브랜드가 매장서 철수당했다.
도상현 위비스 대표는 "'자라'의 경우 스페인에서 400여 원ㆍ부자재 업체와 트러스트를 구성해 생산단가를 낮추는 등 자생력을 갖췄다"면서 "국내의 경우 불합리한 관세 정책 탓에 국산 원ㆍ부자재를 사용하고 싶어도 사용할 수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국내 의류업체는 국산 원단을 사용해 임가공비가 싼 중국에서 봉제만 해서 갖고 들어오는 데도 완제품 수입과 똑 같은 관세를 무는 형편이다. 자연 물류비 등을 낮추기 위해 현지 원단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이는 국내 원ㆍ부자재 산업의 육성을 가로막는 비효율을 낳고 있다는 주장이다. 한창우 브라이트유니온 대표도 "1970~80년대 국내 의류업이 해외 브랜드의 하청공장 수준이었던 시절 만들어진 봉제업 보호책이 지금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정동창 지식경제부 미래생활섬유과장은 "정부는 2015년까지 세계적인 패션브랜드를 3개 이상 육성한다는 목표 아래 산업기반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제도적 보완책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성희 기자 summer@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