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일수록 빈곤 상태로 떨어질 우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960~70년대 경제성장을 주도한 전전(戰前)세대가 평생 아랫세대들에 비해 심각한 소득 불균형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개발원은 23일 발표한 '우리나라 가구의 생애소득 및 생애지출 현황과 소득분배 분석' 보고서에서 1986~2007년 '가계조사' 통계 자료를 분석, "생애주기별로 보면, 소득수준은 20대 이후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다가 55세 무렵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역U자 패턴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가구주가 1986년 당시 20세이상인 가구들을 세대별로 묶어 이후 22년간 각각의 소득과 지출 현황을 추적한 것. 또 나이가 60세 무렵에 이르면서 빈곤가구 비율이 급격히 늘어나는 등 빈곤위험도가 커지고, 전후세대보다는 전전세대일수록 같은 연령대 안에서의 소득 불평등이 심각했다.
소득불평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0에서 1로 갈수록 불평등 정도가 크다는 뜻)는 86년 당시 55세이상(1931년이전 출생)인 가구 집단의 경우 22년간 평균 0.390이었고, 32~36년생과 37~46년생 집단도 각각 0.335, 0.315를 기록했다. 반면 57~66년생 집단의 지니계수는 평균 0.263으로, 전전세대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소득 격차가 적었다.
은퇴 이후 노년에 빈곤에 빠질 위험성도 컸다. 1936년 이전에 출생한 집단의 경우, 50대였던 86년엔 빈곤율(중위소득의 50% 미만에 해당하는 빈곤선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15.86%였으나 7년 뒤인 93년(24.49%) 20%대에 들어갔다. 이들보다 10년 뒤에 태어난 37~46년생 집단도 정확히 10년 뒤인 2003년 빈곤율 20%대에 진입했다.
생애소득 분포를 보면, 20대엔 평균소득보다도 낮았지만 차츰 늘어나 50대에 꼭지점을 찍은 뒤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60대에 들어서면서 소득은 평균 밑으로 내려가고, 연금이나 다른 가족으로부터 받는 생활보조금 등의 이전소득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또 소득이 낮아지면서 지출이 거의 맞먹는 수준이 돼 저축 등을 통해 자산을 늘릴 여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개발원 한성호 경제통계실장은 "고령가구의 소득수준이 낮을 뿐 아니라 소득불평등과 빈곤위험도는 높아 경제적 후생이 낮다"며 "고령화 추세에 따른 노인 빈곤 문제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향란 기자 iami@hk.co.kr
<저작권자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저작권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